리보 조작 파문이 일파만파다. 주범으로 지목된 영국 바클레이즈 은행이 4억5300만달러의 벌금을 물게 된 데 이어 11개 글로벌 은행이 벌금과 소송 등으로 부담할 돈이 무려 220억달러에 달한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가장 파괴력이 큰 금융 스캔들이라는 시각이 많은 이유기도 하다.

사건 경위는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바클레이즈가 실제보다 0.3%포인트 낮게 금리를 제출했다는 것을 인정한 정도다. 씨티은행, JP모건 등 나머지 은행에 대해서는 미국 유럽연합 등에서 별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무려 430조달러의 국제 금융거래가 리보를 기준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비춰 볼 때 리보 조작은 중대 범죄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인 것 같다.

하지만 의문도 적지 않다. 리보 조작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오래된 관행이며 거기에는 중앙은행의 묵인 내지는 방조가 있었다는 것이 일각의 주장이다. 실제 2008년 10월에 폴 터커 당시 영국 중앙은행 부총재가 바클레이즈 CEO와 통화하며 “왜 바클레이즈가 제출한 금리만 다른 은행들보다 높은가”라는 발언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뉴욕연방은행 역시 리보 조작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시장금리가 기준금리와 괴리를 보이면 시장에 개입하려는 유혹을 갖기 쉽다. 금융위기를 맞으면 그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리보 조작이 2008년 말에 이뤄진 사실이나 유럽위기가 진행 중인 시점에 이 문제가 불거진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번 파문이 저금리 정책에 순응하지 않는 은행들에 소위 ‘본때’를 보여주려는 국가와 중앙은행의 작품이라는 추론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현재로선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다. 분명한 점은 이번 사건이 중앙은행의 독점적인 화폐발행이나 초월적인 권위에 기반한 금리 결정이 과연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도 있다는 것이다. Fed에 맞서지 말라는 월가의 격언도 있다지만 국가의 금리정책에 순응하지 않을 경우 종종 금리조작 혐의를 받게 된다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진실이다. 당초 시중금리인 것을 국가의 공정금리로 만든 것부터가 무리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