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만여명 대상, 10월20일 등록마감

12월 대선을 위한 재외 유권자 등록ㆍ신고가 오는 22일(현지시간) 세계 107개국 162개 공관별로 일제히 시작된다.

지난 4월 19대 총선에 이은 두 번째 재외선거를 위한 이번 등록ㆍ신고는 오는 10월20일까지 3개월간 이어지며, 이 절차를 마쳐야만 투표권이 부여된다.

재외 유권자수는 출생일이 1993년 12월20일 이전인 만 19세 이상 223만3천193명(추정치)으로, 19대 총선 때와 비슷하다.

등록ㆍ신고 방식은 국내에 주민등록이나 거소신고가 돼 있지 않은 재외선거인과 유학생, 주재원, 여행자 등 국외부재자 간에 다소 차이가 있다.

재외선거인의 경우 거주국 공관을 직접 방문해 등록을 해야 하며 여권사본과 함께 비자, 영주권, 장기체류증 사본, 외국인등록부 중 하나를 지참하면 된다.

반면 국외부재자는 공관 방문 외에 우편 신고도 가능하다.

재외대선 투표는 12월5일부터 10일까지 엿새 동안 거주국 공관에 설치되는 투표소에서 진행된다.

중앙선관위는 이번 재외대선을 위해 28개국 55개 공관에 직원 1명씩을 파견, 선거 관리와 홍보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재외대선 역시 등록과 투표를 위해 공관을 두 번 방문하도록 돼 있는 현행 선거제도가 유지될 전망이어서 높은 투표율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19대 총선의 경우 번거로운 절차 탓에 전체 선거인 등록ㆍ신고자수가 12만3천571명에 그치고, 이 가운데 5만6천456명이 투표에 참여함으로써 전체 유권자 대비 실투표율이 2.5%에 불과했다.

정치권과 선관위는 현재 우편ㆍ인터넷 등록 허용, 영구명부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이나 처리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와 함께 공관이 설치돼 있지 않은 70여개국 거주 재외국민의 경우 총선에 이어 참정권 행사에 제약을 받는 상황을 맞게 된다는 점에서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