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 있어 끝까지 완주할 것"

민주통합당 정세균 상임고문은 19일 "어제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룰이 확정됐는데 정당정치를 후퇴시키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밝혔다.

정 고문은 이날 고(故) 김근태 상임고문 계열의 당내 모임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초청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한 뒤 "민주당 경선룰은 정당 민주주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 고문은 당원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예비경선(컷오프)시 당원의 참여 비율을 높이고 1인2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민주당은 그러나 예비경선에서 당원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5:5의 비율로 반영하고, 1인1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정 고문은 이어 "지난 6ㆍ9 전당대회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며 "총선 패배에 대한 자성 없이 자기들 입장만 생각하며 정치공학적으로 나눠먹기를 한 결과 컨벤션 효과도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과거보다 신뢰를 얻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 전당대회 과정에서 논란이 된 `이해찬-박지원 역할분담론'을 비판하며 이번 대선후보 경선룰에 친노(친노무현)의 좌장격인 문재인 상임고문의 입장이 많이 반영됐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 고문은 "지지율이 오르지 않으면 중도사퇴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결선투표가 도입되면서 지지율이 낮은 사람이 그만둘 권리가 없어졌다"며 "결선투표가 있는데 완주하겠다.

못가면 아니감만 못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지율이 정체돼 있는 것에 대해 "저도 답답하다"고 속내를 드러낸 뒤 "헬리콥터는 금방 뜨지만 큰 비행기일수록 긴 활주로가 필요하다.

큰 비행기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소통하면 국민이 진정성을 알아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경제민주화 정책에 대해서는 "진정성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새누리당의 경제민주화와 민주당의 경제민주화가 문패는 같지만 내용을 보면 차이가 있다.

시간이 지나면 차이가 드러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국민이 연애상대가 아닌 결혼상대를 고르는 시점"이라며 "(내용을) 뜯어보지 않으면 새누리당에 호감이 갈 수 있지만, 누가 제대로 대한민국을 운행할까를 생각하면 민주당을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지원 원내대표의 저축은행 사건 연루 의혹에 대해 "동료가 목숨을 걸고 아니라고 말하니 믿는다"면서도 "이 문제만을 위한 국회 소집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한승 기자 jesus786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