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3일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 2만달러, 인구 5000만명 이상인 국가가 됐다. 정부는 이 두 가지 조건을 달성한 국가들이 예외 없이 1인당 GDP 3만달러를 돌파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안정적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임계량(Critical mass)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임계량의 사전적 의미는 물리학에서 핵분열 물질이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질량을 뜻한다. 일반적으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노력이라고도 해석할 수도 있다. 국가 성장을 위한 임계량이 일정수준의 GDP와 인구라면, 기술개발(IT)융합이 도약하기 위한 임계량은 적절한 IT융합 생산규모와 전문 인력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정부는 그동안 IT융합의 생산규모를 늘리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IT융합 확산을 중점 추진해왔다. 이런 정책의 일환으로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차량, 건설, 섬유, 조선 등 4개 분야에 ‘IT융합 혁신센터’를 지정했다. 수요대기업이 필요로 하는 융합기술을 IT 중소기업이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을 수요대기업의 주력제품에 적용해 주는 동반성장형 IT융합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중소 협력으로 개발한 융합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면 IT융합 생산규모는 커지게 되고 센터에 참여한 인력들은 융합제품 개발과정에서 자연스럽게 IT융합 전문 인력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 같은 정부지원 결과 음성인식, 차량용 웹브라우징 등 차량IT융합 기술들이 최근 신차에 탑재됐다. 스마트 히팅(heating), 스마트폰 방문자확인 기술 등도 오는 2013년에 출시될 의류 및 신규 아파트에 적용될 예정이다.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들도 IT융합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해오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기업들의 IT융합부문 매출은 1602억원으로 3년전에 비해 49% 증가했다. 고용도 18%가량 성장하는 등 IT융합 생산규모와 전문인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같이 정부의 선제적인 정책과 기업들의 노력으로 IT융합이 도약을 위한 충분한 임계점에 도달했다는 청신호들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민·관이 함께 IT융합 도약을 위한 도움닫기를 해왔다면, 이제는 본격적 도약을 위해 온힘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 2단계 IT융합 확산전략’을 마련 중이며 주력산업과의 융합을 가속화하면서 재난·안전·먹을거리 등 국민생활 밀착형 서비스와 IT의 실질적 융합을 촉진할 예정이다. 그 힘으로 IT융합이 더욱 발전해 우리나라가 하루빨리 GDP 3만달러 시대로 돌입하는데 주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김재홍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