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식 울산대 교수팀, 암세포 제거 돕는 단백질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과학기술부는 김헌식 울산대 의대 교수(사진) 연구팀이 항암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도록 활성화시키면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찾아냈다고 25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역할을 하는 선천 면역세포인 NK세포가 암세포 여부를 구분할 때 공통적으로 ‘SLP-76’이라는 단백질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암세포를 인지할 때 다양한 면역 수용체가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SLP-76이 NK세포의 암세포 억제 능력을 깨우는 핵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오 업계는 현재 NK세포를 이용한 암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가 치료제 개발을 앞당기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김 교수는 “SLP-76 단백질을 촉진하는 효소와 약물을 찾아내면 NK세포 치료제의 효능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며 “NK세포 치료제가 효능을 내지 않을 때 그 원인을 찾는데도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시그널링’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연구팀은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역할을 하는 선천 면역세포인 NK세포가 암세포 여부를 구분할 때 공통적으로 ‘SLP-76’이라는 단백질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암세포를 인지할 때 다양한 면역 수용체가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SLP-76이 NK세포의 암세포 억제 능력을 깨우는 핵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오 업계는 현재 NK세포를 이용한 암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가 치료제 개발을 앞당기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김 교수는 “SLP-76 단백질을 촉진하는 효소와 약물을 찾아내면 NK세포 치료제의 효능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며 “NK세포 치료제가 효능을 내지 않을 때 그 원인을 찾는데도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시그널링’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