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년의 '스타펀드'들 속쓰린 수익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0~2011년 증시 활황기때 벌어놓은 수익률 까먹고 있어
삼성중소형포커스 등 3개만 코스피 상승률 웃돌아
"손실 보고 있다면 분할매도를"
삼성중소형포커스 등 3개만 코스피 상승률 웃돌아
"손실 보고 있다면 분할매도를"
증시가 가파르게 상승했던 2010년 하반기부터 작년 상반기 사이에 시중자금은 펀드로 몰렸다. 몇몇 펀드는 빼어난 수익률을 앞세워 돈을 끌어모으며 ‘스타펀드’로 군림했다. 지금은 아니다. 대부분 펀드가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조정장세를 이기지 못한 채 벌어놨던 수익률을 허무하게 까먹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고 수익률 회복을 마냥 기다리는 것보다 수익률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 분할 환매하는 것도 괜찮은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아, 옛날이여!
2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010년 7월1일부터 2011년 6월30일까지 1년 동안 설정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상위 10개 펀드 가운데 지난달 말 기준 최근 2년간 수익률이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 상승률(13.23%)을 앞서는 펀드는 4개에 불과했다. ‘삼성중소형포커스’가 41.59%의 수익을 내 성과가 가장 좋았다. ‘KB밸류포커스’(32.37%) ‘삼성당신을위한코리아대표그룹’(27.02%) ‘신한BNPP좋은아침희망’(14.66%)도 나름대로 선방했다.
이에 비해 다른 펀드들은 최근 2년간 수익률이 10% 미만으로 내려왔다. ‘JP모간코리아트러스트’는 이 기간 수익률이 3.0%에 불과해 증시 조정이 더 이어질 경우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KB한국대표그룹주’(6.23%)와 ‘알리안츠기업가치향상장기’(7.28%)도 부진했다.
이들은 코스피지수가 1650대에서 2200대로 수직 상승한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에 은행 및 증권사 지점을 통해 불티나게 팔려나갔던 펀드다. 가입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수십%까지 수익을 냈던 펀드들이어서 아직 펀드를 들고 있는 투자자라면 속이 쓰릴 수밖에 없다.
‘삼성중소형포커스’의 경우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1년 동안에만 49.86%의 수익을 올렸다. ‘JP모간코리아트러스트’는 이 기간 수익률이 50.44%에 달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별로 가입 기간이 달라 일률적으로 얘기하기는 어렵지만 왕년의 스타펀드들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다리는 게 능사는 아니다”
증시 활황기에 쌓아놨던 수익률을 지난해 8월 이후 상당 부분 까먹은 상황에서 수익률이 회복되기만을 마냥 기다리는 게 맞는지 개인투자자들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강우신 기업은행 분당파크뷰지점장은 “가입한 지 3년이 지났는데도 손실을 보고 있는 펀드의 경우 증시 상황에 맞춘 분할 매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환매에 나서는 게 낫다”고 설명했다.
활황기에 설정액이 갑자기 늘어나는 펀드의 경우 가입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펀드매니저나 스태프 인력이 부족한 중·소형 자산운용사 가운데 펀드의 ‘덩치’가 갑자기 불어나 운용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1조원 가까이로 불어난 중·소형 운용사의 일부 스타펀드 중에는 펀드매니저 1~2명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럴 경우 증시 변동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아, 옛날이여!
2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010년 7월1일부터 2011년 6월30일까지 1년 동안 설정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상위 10개 펀드 가운데 지난달 말 기준 최근 2년간 수익률이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 상승률(13.23%)을 앞서는 펀드는 4개에 불과했다. ‘삼성중소형포커스’가 41.59%의 수익을 내 성과가 가장 좋았다. ‘KB밸류포커스’(32.37%) ‘삼성당신을위한코리아대표그룹’(27.02%) ‘신한BNPP좋은아침희망’(14.66%)도 나름대로 선방했다.
이에 비해 다른 펀드들은 최근 2년간 수익률이 10% 미만으로 내려왔다. ‘JP모간코리아트러스트’는 이 기간 수익률이 3.0%에 불과해 증시 조정이 더 이어질 경우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KB한국대표그룹주’(6.23%)와 ‘알리안츠기업가치향상장기’(7.28%)도 부진했다.
이들은 코스피지수가 1650대에서 2200대로 수직 상승한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에 은행 및 증권사 지점을 통해 불티나게 팔려나갔던 펀드다. 가입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수십%까지 수익을 냈던 펀드들이어서 아직 펀드를 들고 있는 투자자라면 속이 쓰릴 수밖에 없다.
‘삼성중소형포커스’의 경우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1년 동안에만 49.86%의 수익을 올렸다. ‘JP모간코리아트러스트’는 이 기간 수익률이 50.44%에 달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별로 가입 기간이 달라 일률적으로 얘기하기는 어렵지만 왕년의 스타펀드들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다리는 게 능사는 아니다”
증시 활황기에 쌓아놨던 수익률을 지난해 8월 이후 상당 부분 까먹은 상황에서 수익률이 회복되기만을 마냥 기다리는 게 맞는지 개인투자자들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강우신 기업은행 분당파크뷰지점장은 “가입한 지 3년이 지났는데도 손실을 보고 있는 펀드의 경우 증시 상황에 맞춘 분할 매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환매에 나서는 게 낫다”고 설명했다.
활황기에 설정액이 갑자기 늘어나는 펀드의 경우 가입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펀드매니저나 스태프 인력이 부족한 중·소형 자산운용사 가운데 펀드의 ‘덩치’가 갑자기 불어나 운용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1조원 가까이로 불어난 중·소형 운용사의 일부 스타펀드 중에는 펀드매니저 1~2명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럴 경우 증시 변동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