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의 파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독일 등 주요국의 정치 리스크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확대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는 7일 이슈분석(Issue Analysis) 자료를 통해 9월 네덜란드 총선을 시작으로 내년말까지 세계 6개국에서 주요 선거가 치러진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네덜란드 총선에서 야당이 승리하거나, 여권이 연정구성에 실패해 정치적 혼란이 일어날 경우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에 큰 걸림돌이 되거나 심지어 유로존 탈퇴까지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11월 미국 대선과 총선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할 경우 세제, 재정건전화 속도, 외교정책 등에 일부 변화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또 하원의 여소야대와 상원의 여대야소 구도의 변화에 따라 내년초 일시에 수천억 달러의 세금 증가와 정부지출 삭감이 발생하는 이른바 `재정절벽'에 대한 대응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봤다.

내년 4월 이탈리아 총선에서는 민주당 연정의 승리 가능성이 높지만 베를루스코니의 정계복귀 등 돌발변수가 다수 있으며, 같은달 6월 이란 대선에서 하메네이파 인사가 예상외로 높은 투표율로 승리할 경우 핵개발 등 대서방정책이 더욱 강경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총선의 경우 소비세 인상법안이 참의원에서 통과되지 못하면서 중의원 해산 및 조기총선으로 전개되는 시나리오가 최대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내년 9∼10월 중 치러질 예정인 독일 총선은 여권의 재집권시에는 큰 변화가 없겠지만 야권이 집권할 경우 종전의 재정위기 관련 국가간 공조와 유로존 구제금융 등에서 보다 자국 실리적 접근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조기총선과 과격한 정책 변화 등 돌발적 이벤트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면서 "주요국 경제ㆍ금융시장 외에도 정치적 이벤트의 전개에 대해 면밀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