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종 잡지 모은 '매거진 캐스트' 시범 서비스 시작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이 콘텐츠 살림살이를 늘리고 있다.

NHN은 최근 국내에서 출판되는 잡지 콘텐츠를 모아 '매거진캐스트'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 6월 모바일웹 서비스로만 제공하던 것을 PC웹으로 확장한 것이다.

현재 서울문화사의 '리빙센스', 두산매거진의 'GQ' 등 NHN과 제휴를 맺은 36종 잡지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패션, 자동차, 육아, 낚시 등 여러 주제의 잡지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NHN은 '매거진 캐스트'와 연계한 추가 서비스도 검토하는 등 잡지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잡지업계에선 '매거진 캐스트'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매거진 캐스트 서비스를 시작한 한 잡지사 관계자는 "회사가 제작한 콘텐츠를 누리꾼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수익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이 있었다" 며 "더 많은 독자들이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또 "자극적인 기사 경쟁이 일고 있는 속보성 뉴스캐스트 서비스와 달리 잡지는 제작 과정이 일주일 또는 한 달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쟁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NHN이 잡지 콘텐츠까지 접수하면서 네이버의 '콘텐츠 장악력'은 더욱 커졌다.

네이버는 지난달 다양한 인기 TV프로그램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TV캐스트' 시범서비스도 시작했다. CJ E&M, JYP 등 방송사 및 기획사와 제휴를 맺어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각 언론사의 뉴스를 모은 네이버의 '뉴스 캐스트' 역시 논란 속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이다.

NHN의 한 관계자는 "콘텐츠에 대한 갈증은 언제나 있어왔다" 며 "최근 스마트폰의 확장으로 N스크린을 통해 모바일에서 콘텐츠를 접하려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콘텐츠 확보에 더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털 업계에서는 NHN이 MBC의 '나는 가수다2', CJ E&M의 '슈퍼스타K4' 등의 동영상과 잡지 콘텐츠를 모으는 데 수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포털업계의 한 관계자는 "다음과 네이트 역시 다양한 콘텐츠 확보에 주력하고 있지만 자본력을 앞세운 네이버가 콘텐츠 투자에서 앞서가고 있는 형국"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