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ㆍ노르웨이서 북극항로ㆍ자원개발 협력 박차

이명박 대통령이 `미개척지'인 북극권 순방 일정을 모두 마쳤다.

지난 9일(현지시간) 그린란드 방문을 시작으로 본격 시동을 건 이 대통령의 북극 지역 순방은 12일 옌스 슈톨텐베르크 노르웨이 총리와 정상회담ㆍ공동 기자회견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노르웨이에서는 슈톨텐베르크 총리가 추진 중인 북극정책(High North Policy)과 이 대통령의 북극 개척을 위한 `新(신)북방 이니셔티브'가 만나는 자리였다.

노르웨이는 유럽에서 러시아를 제외하고는 최대 석유ㆍ가스 보유국이자 생산국이다.

석유시추선을 비롯한 특수선에 강점을 가진 노르웨이와 유조선과 같은 대형선박 기술에 독보적인 우리나라가 손을 잡는다면 `윈-윈'(Win-Win) 효과를 거둘 것으로 우리 정부는 보고 있다.

또 양국은 석유 공동비축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비축량을 늘리고, 저장수익을 제고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청와대는 노르웨이가 미국ㆍ러시아ㆍ캐나다ㆍ덴마크 등과 함께 `북극 이사회 국가'로서 이 지역 개발에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해양 북극항로를 개척하는 데 공을 들였다.

북극항로가 열릴 경우 부산-로테르담(네덜란드) 거리가 37%(2만100km→1만2천700km), 운항일수는 30일에서 20일로 단축돼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 세계 원유의 13%(900억 배럴), 희토류는 중국의 40배가 매장돼 있고, 금ㆍ다이아몬드ㆍ플래티늄 등도 다량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극에 성공적으로 진출만 한다면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에는 `신천지'가 열리는 셈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ㆍ일본 등이 북극권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연유에서다.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노르웨이ㆍ그린란드는 환경보호-개발을 병행해 추진하는 `녹색성장'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우리나라와 전략적 제휴가 가능하다.

노르웨이는 우리나라가 녹색성장을 위해 최초로 설립을 주도한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창립에도 참여할 만큼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에서는 우리나라가 이 지역에 상당한 비중을 갖고 진출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게다가 지난 100년간 `노르딕 피스'(Nordic Peace)를 유지하고 있는 이 지역과 침략의 역사가 없는 우리나라가 `평화'를 매개로 유대감이 있어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대통령이 오슬로대학 연설에서 동북아 평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촉구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이 대통령이 우리나라 정상으로서는 처음 그린란드 일룰리사트의 빙하 해빙 현장을 찾은 것도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해결책 마련에 머리를 맞대자는 제안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린란드가 현재는 덴마크령이지만 오는 2020년부터는 독립 움직임이 빨라질 전망이다.

이번에 이 대통령이 덴마크 왕세자와 자치정부 총리를 동시에 만나 그린란드와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도 이러한 정세와 맥이 닿아 있다.

이 대통령이 이번 순방에서 체결한 각종 북극 해양 항로 개척 및 자원개발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은 우리나라 진출을 위한 `착점'의 의미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MOU는 구속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차기 정부가 얼마나 북극권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이어가느냐가 관건으로 남는다.

(오슬로연합뉴스) 김종우 안용수 기자 jongwoo@yna.co.kraayy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