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마감 2주 앞두고 신고ㆍ등록률 4.76%

지난 4ㆍ11총선에 이어 12월 대선에서도 실시되는 재외국민투표가 등록마감 2주일을 남겨놓고서도 등록률이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7일 현재 107개국의 전체 재외선거권자 223만3천193명 가운데 투표등록을 한 비율은 4.76%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투표일에 가면 실제 투표율이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보여 중앙선관위와 정치권에 비상이 걸렸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7월22일부터 지난 4일까지 74일간 대선투표를 위해 등록ㆍ신고한 재외유권자는 재외 선거인 1만8천719명, 국외 부재자 8만7천619명 등 10만6천338명으로 집계됐다.

19대 총선에서 같은 기간 등록한 6만4천657명보다는 늘었지만 오는 20일 등록마감을 앞둔 상황에서 총선때 전체 재외국민 선거인단(12만3천571명)보다 수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에는 빗나가는 수치다.

그나마도 이중 82.4%는 신고만 하면 투표할 수 있는 유학생ㆍ주재원ㆍ여행자 등 국외 부재자이고 한국 국적 소지자인 재외선거인은 17.6%에 불과했다.

주요국의 등록률은 미국이 2.84%, 일본 3.64%, 중국 6.18%로 모두 저조했다.

선관위는 현재 55개 재외공관에 직원 55명을 파견해 선거사무 관리, 재외선거 홍보활동을 진행하면서 등록률을 높이려고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여야 정치권도 표심을 공략하기 위해 각국에서 교민 접촉면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통과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은 재외선거인의 순회등록, 가족대리 등록, 이메일 등록을 허용해 투표 참여율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기대를 낳았다.

그러나 등록률이 저조한 수준에서 맴돌자 법개정의 실효성을 기대하기는 무리라를 분석이 많이 나오고 있다.

법 개정으로 재외선거인이 직접 공관을 방문해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해소됐지만, 선거일에는 여전히 공관을 방문해 투표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처럼 국토가 넓은 국가에서는 투표포기 사례가 많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재외공관 외 추가로 투표소를 설치하자는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투표의 불편함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yjkim8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