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디붉은 색으로 한껏 달아오른 단풍이 부른다. 하지만 유명한 단풍명소는 가는 곳마다 인산인해(人山人海). 여차하면 제 시간에 밥도 먹기 어려울 지경이다. 더구나 직접 운전까지 해야 하는 피곤함이란…. 이럴 땐 기차여행 상품이 제격이다. 차 막힐 일 없고 패키지로 준비돼 있으니 모든 게 일사천리다. 기차로 가을여행을 떠나보면 어떨까.

코레일관광개발은 KTX부터 무궁화호까지, 당일부터 1박2일까지 원하는 열차와 일정에 따라 단풍명소로 떠나는 상품을 내놓았다. 오는 20일부터 11월24일까지 매일 출발하는 단풍여행 상품이다.

내장산 단풍만 보고 오기 아쉬운 사람들에게는 KTX를 타고 떠나는 내장산 여행코스가 제격이다. KTX를 타고 정읍역에 내려 내장산으로 이동해 단풍을 즐기고, 정읍의 명소인 산외 한우마을에서 맛있는 한우를 맘껏 즐기는 일정으로 구성돼 있다. 단풍 구경에 눈이 즐겁고 한우마을에선 입이 즐거운 여행이다.

KTX 일반실로 떠나는 ‘내장산 단풍터널과 산외한우마을(당일)’ 상품은 오전 7시50분 용산역을 출발해 10시14분에 정읍역에 도착한다. 이어 내장산으로 이동해 단풍을 만끽한다. 가벼운 산책을 원한다면 108그루의 단풍터널 걷기를, 등반을 원한다면 일주문에서 벽련암과 서래봉을 지나 내장사를 트레킹할 수 있는 서래봉 코스를 선택하면 된다.

단풍 구경 후 찾아가는 정읍 산외한우마을은 영월 다하누촌과 더불어 국내에서 한우를 가장 싸게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마음에 드는 한우 부위를 골라 산 뒤 바로 옆 식당에서 상차림비만 내고 구워먹고 정읍역에서 용산행 KTX에 오르면 된다. 왕복 열차비·차량비·입장료·여행자보험 포함 월~목요일 6만5000원(어른 기준), 금~일요일 8만5000원. KTX 특실을 이용할 경우 점심식사로 30여가지의 반찬이 나오는 남도 산채정식을 푸짐하게 즐길 수 있다.

무궁화호로 떠나는 내장산 단풍트레킹 당일 상품도 있다. 용산역에서 출발해 정읍역에 도착, 연계버스를 타고 내장산으로 이동해 자유롭게 단풍산행을 즐긴 뒤 서울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오전 7시5분 무궁화호를 타고 용산역을 출발해 정읍역을 거쳐 버스로 내장산에 도착하면 온전히 자유시간이다. 월~목요일 4만9000원, 금~일요일 5만9000원.

KTX로 떠나는 ‘내장산·피아골 단풍·레일바이크(1박2일)’ 상품은 내장산 단풍과 순천 선암사, 지리산 피아골, 곡성의 명물 섬진강 레일바이크까지 더해져 알차다. 16만9000원부터.

코레일이 18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9차례 운행하는 ‘사뿐사뿐 걷는 외씨버선길’ 관광열차도 주목할 만하다. 외씨버선길은 청정지역인 경북 청송 영양 봉화와 강원도 영월 등 4개 지자체가 함게 만든 걷기 여행의 명품길로, 영월에서 청송까지 13개 구간 200㎞에 이른다. 코레일과 경북북부연구원이 협력해 여기로 향하는 관광열차 상품을 내놓았다. 김복환 코레일 여객본부장은 “이번 관광열차 운행으로 약 3600명의 수도권과 부산권 관광객이 4개 군에 걸친 아름다운 외씨버선길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코레일 홈페이지 기차여행코너(www.korail.com) 참조.

코레일공항철도가 추천하는 가을 트레킹 코스도 가볼만하다. 가족, 연인과 함께 장봉도·소무의도 해안트레킹을 떠나면 어떨까. 장봉도는 공항철도 전 구간 개통 이후 가장 붐비는 섬 중 하나다. 예전에는 서울에서 가려면 1박2일로 떠나야 했지만 이제는 운서역을 이용하면 당일 일정으로 섬을 여행할 수 있다. 길게 뻗은 섬을 따라 개발된 8.1㎞의 능선종주길 외에 2.1㎞의 해안트레킹 코스도 최근 조성돼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공항철도 운서역 건너편에서 221-1번 버스가 매시 40분에 출발하며 삼목선착장에서 매시 정각에 장봉도로 배가 떠난다. 소무의도는 무의도 옆에 있는 면적 1.22㎢의 작은 섬. 지난해 4월 무의도와 길이 414m의 다리가 놓인 데 이어 지난 5월 섬을 한 바퀴 도는 길이 2.48㎞의 무의바다누리길이 조성되면서 섬 트레킹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다음달 25일까지는 주말 바다열차로 용유임시역에서 내려 15분쯤 걸어 잠진도선착장에 도착해 무의도행 배를 타면 된다. 평일에는 인천공항 3층 7번 승강장에서 222번이나 2-1번 버스로 잠진도 선착장에 가면 된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