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중 턱이 뻐근하다? 턱관절 장애 의심… 방치했다간 양악수술 필요할지도
[김희정 기자] 직장인 김씨(27. 남)는 날이 갈수록 얼굴형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김씨의 경우 얼굴형도 문제지만 그 못 지 않게 들쑥날쑥한 치아도 콤플렉스다. 남자임에도 불구하고 언제 어디서든 마음 놓고 웃지 못하는 상황이다.

극심해진 스트레스로 병원을 찾은 그는 ‘턱 관절 통증’이라는 진단을 받고 어리둥절하다. 평소 식사를 하거나 말을 많이 할 경우 턱 부분에 통증을 느끼긴 했으나 얼굴형과 치아 부분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의문인 것이다.

이와 관련해 에버엠치과(구강악안면외과) 관계자는 “김씨의 경우 평소 음식을 씹는 게 힘들어지면서 편두통과 함께 어깨와 목 부위까지 뻐근했을 것”이라며 “이는 턱관절 장애가 발전해 안면윤곽 변형으로까지 이어진 케이스로, 기능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턱관절 장애로 인한 기능 손상 → 소화장애, 두통, 발음장애

치아와 치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저작기능 장애로 인해 턱관절 장애까지 초래하게 된다. 특히 부정교합이 오래된 경우라면 턱관절 장애는 물론 소화 장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들 대부분이 음식을 씹을 때 불편함을 호소하고 만성피로와 두통, 어깨 통증을 동반한다.

나아가 오랜 기간 치아교정을 방치한 상태라면 후천적인 영향으로 얼굴형까지 변형될 확률이 높다. 성인 치아교정의 경우 어릴 적 적정 시기를 놓친 경우가 대다수로, 안면윤곽술까지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주걱턱, 돌출입, 무턱, 안면비대칭 등은 얼굴뼈(턱뼈)를 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치아교정을 병행해야 하는 양악수술 사례들이 다수다. 이들 대부분이 유전적인 영향으로 인해 안면윤곽이 변형됐거나, 교정 시기를 놓치면서 얼굴형 변형으로 발전한 경우로 단순 치아교정은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없다.

더욱이 오랜 기간 기능적인 고충에 시달리고 있다면 더 이상 치료를 미뤄서는 안 될 일. 안면윤곽의 변형은 턱관절 장애를 동반할 수 있으니 보이지 않는 얼굴뼈를 하루 빨리 점검할 필요가 있다.

양악수술과 치아교정은 심미적인 문제도 따르지만 무엇보다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가 선행돼야 한다. 조화로운 얼굴 개선은 물론이며 치아와 턱 기능까지 회복됐을 때 환자와 의료진 모두 만족하는 수술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현대차, SM 가수들과 ‘PYL 유니크’ 앨범 발표
▶ 지구상 단 1마리 남은 흰 혹등고래, 경이롭단 말 밖에…
▶ 갤럭시S3 젤리빈 업그레이드 실시… 터치감, 속도 UP!
▶ 남녀 싸움 후 모습, 남자는 5분이면 화해하지만 여자는
▶ 중고생 선호 직업 1위 초등학교 교사, 하지만 여학생만 선호하는 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