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모방 경제에서 혁신 기반 경제로 이행하는 마지막 단계에 와 있습니다.”

혁신과 산업 클러스터 분야 석학인 스콧 스턴 미국 MIT 경영대학원 석좌교수(사진)는 2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주최로 서울 반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2012 산업혁신 서비스 선진화 국제 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스턴 교수는 “누가 어떤 사업을 할 것인지는 비용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니라 혁신과 품질에 의해 결정돼야 하고 이것은 정부가 결정할 수 없다”며 “한국은 정부 주도의 경제성장을 통해 이미 선진국에 올라섰지만 이제 정부에만 의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 후 기자와 만난 스턴 교수는 “한국 정부는 이제 기존 중소기업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정책이 아니라 혁신에 기반한 창업을 지원하고 이들의 도전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이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클러스터(산업집적단지)를 만들어가야 하지만 제조업 경쟁력을 버리면 안 된다고 지적하고,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정보기술(IT) 서비스 분야에서 선도적인 클러스터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한때 세계 철강산업의 중심지였던 피츠버그는 한국이 철강 강국으로 떠오르면서 공장이 폐쇄되고 실업자가 넘쳐나는 등 몰락해 모두 끝났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폐쇄된 공장을 로봇과 IT 실험실 등으로 활용하면서 인공지능과 첨단로봇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턴 교수는 이를 위해 사회 전반에 기업가 정신을 고취시키고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한 뒤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규범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