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독도 이어 동해도 일본해로 표기…"정부는 뭐했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정부 항의에 명칭 변경 논란
외교부 "구글에 시정 요구"
외교부 "구글에 시정 요구"
구글이 자사 지도 서비스인 ‘구글 맵’에서 독도의 한국 주소를 삭제한 데 이어 동해도 일본해로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구글은 최근 독도·다케시마, 동해·일본해, 센카쿠·댜오위다오, 페르시아만·아라비아만 등 영토 논란이 있는 지역명을 바꿨다. 이 과정에서 아무런 명칭 표기가 없던 동해에 ‘일본해’라는 지역명이 단독으로 생겼다. 해당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검색해야 ‘일본해(동해로도 알려져 있음)’라는 형태로 괄호 안에 동해가 병기됐을 뿐이다.
구글은 최근 지도를 업데이트하면서 독도 이름을 미국식 명칭인 ‘리앙쿠르 암’으로 바꿨다. 영어로 ‘dokdo’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독도 지도와 함께 한국 주소(울릉군 울릉읍 독도 이사부길 63)가 표시됐다. 하지만 이제는 지도상 위치만 검색될 뿐 한국 주소는 나오지 않는다. 이전에는 ‘竹島(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나 ‘takeshima’로는 독도가 검색되지 않았지만 업데이트 후에는 해당 단어를 입력하면 지도상 위치가 나온다.
구글이 일본해 표기를 새로 넣고 독도 주소를 삭제한 이유가 일본 정부의 항의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3월16일 내각회의에서 구글이 독도 소재지를 울릉군이라고 표기한 데 대해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혔고 구글 측에 관련 표기를 바꾸라고 계속 압박해왔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막스 구글 아시아태평양지역 제품커뮤니케이션 총괄 매니저는 25일 “구글은 지도 서비스를 최대한 종합적이고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논쟁 지역에 대해서는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이번 업데이트는 어떤 정부의 요청과도 관련 없이 중립적으로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는 구글 측에 독도 및 동해 표기를 시정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구글 측이 지난 18일 우리 재외공관에 ‘이견이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그것을 검색하는 지역에 따라 결과를 달리하겠다’고 알려왔고 그 자리에서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며 “아직 시정되지 않았지만 어디에서 검색하든지 우리 정부가 부여한 주소가 표기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완/조수영 기자 kjwan@hankyung.com
구글은 최근 독도·다케시마, 동해·일본해, 센카쿠·댜오위다오, 페르시아만·아라비아만 등 영토 논란이 있는 지역명을 바꿨다. 이 과정에서 아무런 명칭 표기가 없던 동해에 ‘일본해’라는 지역명이 단독으로 생겼다. 해당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검색해야 ‘일본해(동해로도 알려져 있음)’라는 형태로 괄호 안에 동해가 병기됐을 뿐이다.
구글은 최근 지도를 업데이트하면서 독도 이름을 미국식 명칭인 ‘리앙쿠르 암’으로 바꿨다. 영어로 ‘dokdo’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독도 지도와 함께 한국 주소(울릉군 울릉읍 독도 이사부길 63)가 표시됐다. 하지만 이제는 지도상 위치만 검색될 뿐 한국 주소는 나오지 않는다. 이전에는 ‘竹島(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나 ‘takeshima’로는 독도가 검색되지 않았지만 업데이트 후에는 해당 단어를 입력하면 지도상 위치가 나온다.
구글이 일본해 표기를 새로 넣고 독도 주소를 삭제한 이유가 일본 정부의 항의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3월16일 내각회의에서 구글이 독도 소재지를 울릉군이라고 표기한 데 대해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혔고 구글 측에 관련 표기를 바꾸라고 계속 압박해왔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막스 구글 아시아태평양지역 제품커뮤니케이션 총괄 매니저는 25일 “구글은 지도 서비스를 최대한 종합적이고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논쟁 지역에 대해서는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이번 업데이트는 어떤 정부의 요청과도 관련 없이 중립적으로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는 구글 측에 독도 및 동해 표기를 시정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구글 측이 지난 18일 우리 재외공관에 ‘이견이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그것을 검색하는 지역에 따라 결과를 달리하겠다’고 알려왔고 그 자리에서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며 “아직 시정되지 않았지만 어디에서 검색하든지 우리 정부가 부여한 주소가 표기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완/조수영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