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들이 유동성 공급정책을 시사한 이후 원ㆍ달러 환율 하락 폭이 세계 주요국 통화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위안ㆍ달러 환율은 사상 최저를 기록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통화는 동반 강세를 보여왔다.

중국의 위안화 절상 용인으로 아시아 통화는 당분간 동반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28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시사한 7월 이후 원ㆍ달러 환율은 이달 26일까지 1,146.10원에서 1,097.00원으로 4.3% 하락했다.

세계 주요국 통화 중 하락 폭은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 말레이시아 링깃이 달러당 4.1% 떨어져 뒤를 이었고 싱가포르달러(3.6%), 스웨덴 크로네(3.0%), 노르웨이 크로네(3.0%), 태국 바트(28%), 캐나다달러(2.2%), 중국 위안(1.8%), 덴마크 크로네(1.8%), 홍콩달러(0.1%), 사우디아라비아 리알(0.01%) 등도 환율이 하락했다.

반면, 영국 파운드가 2.8% 상승한 것을 비롯해 유로(2.2%), 뉴질랜드달러(2.2%), 인도네시아 루피아(1.6%), 호주달러(1.0%), 일본엔(0.5%), 쿠웨이트 디나르 (0.4%)는 상승했다.

바레인 디나르, 아랍에미리트 더히람은 변동이 없었다.

원ㆍ달러 환율은 세계 주요국 통화 중 가장 많이 떨어졌고 아시아 주요국 통화도 환율 하락 추세이다.

이 때문에 아시아 주요국은 최근 다양한 기록들을 세웠다.

달러당 위안화는 이달 26일 기준으로 6.2417위안에 달해 사상 최저였다.

홍콩달러 환율은 이달 24일 7.7501홍콩달러로 2009년 12월7일(7.7500홍콩달러) 이후 34개월 만에 최저였고 싱가포르달러는 이달 18일 1.2168싱가포르달러로 작년 9월9일(1.2140싱가포르달러)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원ㆍ달러 환율이 이달 25일 1,100원선 밑으로 내려간 것도 작년 9월 이후 1년 만에 1,000원대에 진입한 것이었다.

이처럼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동시에 강세를 보인 것은 유럽, 미국, 일본의 양적완화로 풍부해진 글로벌 유동성이 아시아 신흥국 시장으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아시아 통화는 7월 이후 강세로 돌아섰고 미국의 3차 양적완화가 단행된 9월 이후 강세 정도가 더욱 뚜렷해졌다.

특히 한국은 국가 신용등급이 상향조정될 정도로 다른 국가에 비해 안정적이고 기준금리가 선진국에 비해 높은 것도 환차익을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상태다.

기준금리가 미국은 연 0~0.25%, 일본은 연 0~0.10%로 `제로금리' 상태이고 유로존은 0.75%이다.

이에 반해 한국 2.75%를 비롯해 중국 6.00%, 말레이시아 3.00%, 태국 2.75%, 대만 1.88%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높다.

또 한국이 수출 의존성이 높은 경제 구조를 보유한 것과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미 대선을 앞두고 위안화 평가절상을 용인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미 공화당 밋 롬니 대선 후보는 집권하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아직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당국 개입은 적극적이지 않아 아시아 통화 동반 강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싱가포르, 대만, 필리핀, 태국 등 수출 비중이 높은 일부 국가 외환당국이 급격한 통화 강세에 맞서 시장 개입에 나서고 있지만 추세를 꺾진 못하고 있다.

동부증권 박유나 연구원은 "외환당국이 개입한다고 해도 속도를 조절하는 수준이지만 추세를 꺾진 못할 것"이라며 "원화도 속도조절이 되겠지만 연말까지 환율은 1,080선까지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김다정 오예진 기자 kaka@yna.co.krdjkim@yna.co.krohye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