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쫓기면 결국 여론조사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바일경선 최소 9일 걸려
일각선 담판 가능성 제기
일각선 담판 가능성 제기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후보등록일(25, 26일)을 12일 남겨놓은 상황에서 단일화 협의 중단을 선언하면서 룰 협상도 중단되게 됐다. 협상이 다시 재개돼도 시간에 쫓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는 ‘국민이 참여하는 단일화’를 강조하며 국민참여경선을 포함할 것을 강조했지만 유력한 방식인 모바일투표를 시행하는 데 최소 9일이 걸린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논의 방식에서 제외될 공산이 크다.
결국 시간에 쫓기다 보면 단일화 방식은 두 가지로 좁혀질 수밖에 없다. 하나는 여론조사이고, 다른 하나는 후보 간 담판이다.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 플러스 알파(+α)’로 좁혀지는 분위기였지만 구체적 내용과 각각의 반영률을 놓고 첨예한 의견차를 보이고 있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론조사의 가장 큰 쟁점은 역선택 문제다. 안 후보 측은 새누리당 지지층을 상대로 묻는 야권 단일화 후보 지지율에서 문 후보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는 점을 들어 여론조사의 역선택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14일 공평동 캠프사무실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 지지자를 포함해 단일화 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통계의 기본 원리와 상충된다”며 “박 후보 지지층을 여론조사 모집단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문 문항에서 적합도를 볼 것이냐, 아니면 경쟁력을 볼 것이냐도 관건이다. 문 후보 측은 지난 10·26 서울시장 선거 때처럼 “야권 후보로 누가 적합하느냐”를 묻는 적합도 조사를 선호하는 반면 안 후보측은 “누가 박 후보를 이길 수 있느냐”를 묻는 경쟁력 조사를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경쟁력, 적합도 조사 모두 실제 투표행위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누구를 지지하느냐”를 묻는 지지도 조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때문에 이 부분은 적합도와 경쟁력, 지지도를 조합한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식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알파로 거론되는 방식은 국민참여 방식을 가미한 배심원단 평가다. 민주당의 청년비례대표 선발 당시 도입한 슈퍼스타K 방식을 일부 차용한 것으로, 미리 등록한 시민 배심원단의 투표나 여론조사 결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전문가단의 평가 방식도 가능한 선택지지만 중립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는 ‘국민이 참여하는 단일화’를 강조하며 국민참여경선을 포함할 것을 강조했지만 유력한 방식인 모바일투표를 시행하는 데 최소 9일이 걸린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논의 방식에서 제외될 공산이 크다.
결국 시간에 쫓기다 보면 단일화 방식은 두 가지로 좁혀질 수밖에 없다. 하나는 여론조사이고, 다른 하나는 후보 간 담판이다.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 플러스 알파(+α)’로 좁혀지는 분위기였지만 구체적 내용과 각각의 반영률을 놓고 첨예한 의견차를 보이고 있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론조사의 가장 큰 쟁점은 역선택 문제다. 안 후보 측은 새누리당 지지층을 상대로 묻는 야권 단일화 후보 지지율에서 문 후보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는 점을 들어 여론조사의 역선택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14일 공평동 캠프사무실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 지지자를 포함해 단일화 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통계의 기본 원리와 상충된다”며 “박 후보 지지층을 여론조사 모집단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문 문항에서 적합도를 볼 것이냐, 아니면 경쟁력을 볼 것이냐도 관건이다. 문 후보 측은 지난 10·26 서울시장 선거 때처럼 “야권 후보로 누가 적합하느냐”를 묻는 적합도 조사를 선호하는 반면 안 후보측은 “누가 박 후보를 이길 수 있느냐”를 묻는 경쟁력 조사를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경쟁력, 적합도 조사 모두 실제 투표행위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누구를 지지하느냐”를 묻는 지지도 조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때문에 이 부분은 적합도와 경쟁력, 지지도를 조합한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식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알파로 거론되는 방식은 국민참여 방식을 가미한 배심원단 평가다. 민주당의 청년비례대표 선발 당시 도입한 슈퍼스타K 방식을 일부 차용한 것으로, 미리 등록한 시민 배심원단의 투표나 여론조사 결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전문가단의 평가 방식도 가능한 선택지지만 중립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