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대선까지 남은 한달 동안 `준비된 정책행보ㆍ강도높은 민생행보'를 양 축으로 승기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민주통합당 문재인ㆍ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 진통을 거듭 중인 상황에서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박 후보는 `준비된 여성대통령'을 메인 슬로건으로, `책임있는 변화'를 캐치프레이즈로 삼아 한 달간 전력 질주한다는 방침이다.

1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리는 비전선포식의 제목을 `준비된 여성대통령 박근혜'로 정하고, 박 후보가 대표적 공약을 담은 미래 비전을 발표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박 후보는 `준비된 여성대통령'을 이번주 교육ㆍ일자리ㆍ복지공약 발표로 구체화할 예정이다.

교육 공약은 위법 시비를 피하면서도 가계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교육비를 대폭 줄이기 위한 과감한 교육체제 개편 방안에 주안점이 두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창조경제 발표 당시 언급한 대로 정보기술(IT)과 소프트웨어를 기존 산업에 접목시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으로 전해졌다.

작년 초 발의한 사회보장기본법을 토대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구체화하는 방안이 복지 공약에 담길 예정이다.

교육ㆍ일자리ㆍ복지는 박 후보가 취약한 중도층과 30~40대 중년층 그리고 수도권 유권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정책 분야로 보고 박 후보가 보완에 보완을 거듭하며 공약을 가다듬고 있다는 게 캠프측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야권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서는 "구태"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와 같은 강도높은 비판을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선대위 관계자는 "박 후보는 야권이 `잠정 협상중단→아름다운 화해'로 이어지는 정치쇼를 하고 있음을 국민에게 알려야한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말했다.

민생행보의 경우, 지난 12일 호남 지역에서 7개월만에 1박2일 일정을 소화한 것처럼 지방에서 숙박을 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취약한 수도권과 호남권을 집중적으로 훑는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크다.

최근 승용차에서 내부에 노트북 등 `간이 사무실'이 갖춰진 밴으로 바꾼 것도 이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제민주화를 핵심 공약으로 누차 언급하고도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재벌개혁의 상징적 조치로 제시한 기존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등을 거부하면서 경제민주화 의지 퇴보 논란이 인 것은 중도층 유인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개연성이 있다.

또 김지태씨 유족이 5·16 쿠데타 직후 강압에 의해 부산일보 주식 등을 넘겨줬다며 정수장학회(당시 5·16 장학회)를 상대로 낸 민사소송의 항소심이 오는 28일 열리는 것을 계기로 야권이 과거사 문제를 다시 공론화할 경우, 박 후보에게 부담이 될 가능성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