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수식'이냐에 따라 승패 갈릴듯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의 단일화 방식이 `혼합형 여론조사'로 가닥이 잡히면서 2개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어떻게 합산할지가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문 후보 측은 `양자대결+적합도 조사'를, 안 후보 측은 `양자대결+지지도 조사'를 각각 내세우며 룰 타결에 이르지 못했지만, 일단 `양자대결 조사'와 `적합도 또는 지지도 조사'가 포함된 혼합형 여론조사로 큰 방향을 잡은 셈이다.

우선 양자대결 설문조사의 경우 응답자에게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가 맞붙을 경우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맞붙을 경우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등 2가지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적합도(지지도) 조사의 경우엔 역선택을 막고자 새누리당 또는 박근혜 후보 지지자를 제외한 뒤 "박근혜 후보와 경쟁할 후보로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중 누가 적합하다고 보십니까(누구를 지지하십니까)"라고 묻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2개 이상의 여론조사를 진행한 뒤에는 어떻게 합산할지가 관건이다.

서로 다른 내용의 설문 결과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등가성'과 `편차'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후보가 박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50%라는 지지율을 얻고, 단일후보 적합도(지지도)에서 40%라는 지지율을 얻었을 때, 서로 다른 내용의 설문 결과를 동등한 가치로 놓고 단순 합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등가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양자대결은 박 후보 지지층까지 포함한 조사이고, 적합도(지지도) 조사는 박 후보 지지층을 제외한 조사"라며 "두 조사의 대표성 범위가 다르다는 점에서 `등가성'의 문제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또한 양자대결은 박 후보와 문ㆍ안 후보 간의 지지도 비교이고 적합도(지지도)는 문ㆍ안 후보 간 지지도 비교로 범주가 전혀 다른 만큼 각 결과를 통합해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차를 어떻게 조정할지도 문제다.

따라서 등가성과 편차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양측이 서로 수긍할 수 있는 새로운 `수식'이 필요하다.

어떤 수식을 가지고 여론조사 결과를 해석하느냐에 따라 승자와 패자의 운명이 갈리게 되기 때문이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결국 합산을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라고 했고, 배 본부장은 "조사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있어서 두 진영 간 정치적 합의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오차범위의 문제도 남아있다.

재조사를 하기에는 시간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론조사 결과가 오차범위 이내 수치일 경우 `무조건 승복'을 할지 `후보 간 담판'을 통해 결정할지 합의해야 한다.

이와 관련, 안 후보 측 정연순 대변인은 "여론조사 결과가 동률로 나오거나 할 경우에 있어선 결국은 후보 간에 다시 또 의논을 해서 정해야 된다"며 후보 간 최종 담판 가능성을 열어뒀다.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gatsb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