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지지도' 문재인 우세, '가상대결' 안철수 앞서…'단일화 문안' 치킨게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적합도 조사 '적합도 - 지지도'놓고 싸우는 까닭
가상대결 '역선택 가능성' 놓고 공방
두가지 조사 결과 합산 방식도 쟁점으로
가상대결 '역선택 가능성' 놓고 공방
두가지 조사 결과 합산 방식도 쟁점으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는 여론조사 혼합 방식을 놓고 한치의 양보도 없는 기싸움으로 일관했다. 후보 등록일(25, 26일) 전 단일화를 위한 마지막 협상 시일인 23일까지도 ‘가상 양자 대결 50%+적합도 50%’(문 후보)와 ‘가상 양자 대결 50%+지지도 50%’(안 후보) 방안을 놓고 맞섰다.
두 후보가 내놓은 수정안은 각자의 유불리에 따른 것이라 서로 양보하기 쉽지 않다. 접점을 찾지 못하면 여론조사 불발로 후보 등록 전 단일화가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실제 양 캠프 내 강경파는 ‘후보 등록일 후 단일화’ 방안을 꺼내고 있지만 이럴 경우 둘 다 공멸하는 ‘치킨게임’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가상대결은 안 후보에게, 적합도 조사는 문 후보에게 유리하다. 지지도 조사는 두 후보 간 격차가 크지 않다. 적합도 방식은 문 후보가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다. “문재인, 안철수 후보 중 단일 후보로 적합한 후보는 누구입니까”를 묻는 적합도 조사는 누가 대통령감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이성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측면이 강하다. 국정 운영 능력과 정치 노선, 지도자의 자질 등 종합적인 판단이 들어간다.
이에 반해 “단일 후보로 문재인, 안철수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를 묻는 지지도 조사는 유권자 개인의 호감도를 반영한다. 이 때문에 안 후보를 지지하지만 대통령감은 문 후보를 선택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대체적인 여론조사로 보면 적합도 조사에선 문 후보가 안 후보를 10%포인트 차로 앞선다. 지지도 조사에서도 최근 문 후보가 다소 앞서는 추세다.
안 후보가 선호하는 가상 양자 대결의 설문 조사는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등 두 가지 질문을 하게 된다.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서는 안 후보가 문 후보를 앞서왔다.
가상대결에서는 박 후보 지지층이 문·안 후보 중 상대적으로 박 후보가 상대하기 쉬운 후보를 선택하는 역선택 문제가 제기된다. 문·안 후보 지지층의 고의적인 역선택 가능성도 있다.
가상대결과 적합도(지지도) 조사를 어떻게 합산할지도 쟁점이다. 한 후보가 가상대결에서 얻은 지지율과 적합도(지지도)에서 얻은 지지율 결과가 다를 경우 이를 동등한 가치로 합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등가성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차범위 내 결과가 나왔을 때도 정치적 합의가 불가피하다.
결국 두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두 후보 간 담판에 의한 후보 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조사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있어서 두 진영 간 정치적 합의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가상대결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의 가상대결 지지율을 조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박근혜-문재인’ ‘박근혜-안철수’로 양자 대결 조사를 해 박 후보를 이기는 후보를 가리자는 것이다.
■지지도 조사
단순히 지지하는 후보를 묻는 방식이다. 응답자의 투표 행위와 직결된 표현이다.
■적합도 조사
특정 자리에 누가 적합한 자질을 가졌는지 묻는 방식이다. 일종의 ‘책임도’ 측정지표다. 추가적인 가치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응답자의 지지 성향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두 후보가 내놓은 수정안은 각자의 유불리에 따른 것이라 서로 양보하기 쉽지 않다. 접점을 찾지 못하면 여론조사 불발로 후보 등록 전 단일화가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실제 양 캠프 내 강경파는 ‘후보 등록일 후 단일화’ 방안을 꺼내고 있지만 이럴 경우 둘 다 공멸하는 ‘치킨게임’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가상대결은 안 후보에게, 적합도 조사는 문 후보에게 유리하다. 지지도 조사는 두 후보 간 격차가 크지 않다. 적합도 방식은 문 후보가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다. “문재인, 안철수 후보 중 단일 후보로 적합한 후보는 누구입니까”를 묻는 적합도 조사는 누가 대통령감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이성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측면이 강하다. 국정 운영 능력과 정치 노선, 지도자의 자질 등 종합적인 판단이 들어간다.
이에 반해 “단일 후보로 문재인, 안철수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를 묻는 지지도 조사는 유권자 개인의 호감도를 반영한다. 이 때문에 안 후보를 지지하지만 대통령감은 문 후보를 선택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대체적인 여론조사로 보면 적합도 조사에선 문 후보가 안 후보를 10%포인트 차로 앞선다. 지지도 조사에서도 최근 문 후보가 다소 앞서는 추세다.
안 후보가 선호하는 가상 양자 대결의 설문 조사는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등 두 가지 질문을 하게 된다.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서는 안 후보가 문 후보를 앞서왔다.
가상대결에서는 박 후보 지지층이 문·안 후보 중 상대적으로 박 후보가 상대하기 쉬운 후보를 선택하는 역선택 문제가 제기된다. 문·안 후보 지지층의 고의적인 역선택 가능성도 있다.
가상대결과 적합도(지지도) 조사를 어떻게 합산할지도 쟁점이다. 한 후보가 가상대결에서 얻은 지지율과 적합도(지지도)에서 얻은 지지율 결과가 다를 경우 이를 동등한 가치로 합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등가성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차범위 내 결과가 나왔을 때도 정치적 합의가 불가피하다.
결국 두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두 후보 간 담판에 의한 후보 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조사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있어서 두 진영 간 정치적 합의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가상대결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의 가상대결 지지율을 조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박근혜-문재인’ ‘박근혜-안철수’로 양자 대결 조사를 해 박 후보를 이기는 후보를 가리자는 것이다.
■지지도 조사
단순히 지지하는 후보를 묻는 방식이다. 응답자의 투표 행위와 직결된 표현이다.
■적합도 조사
특정 자리에 누가 적합한 자질을 가졌는지 묻는 방식이다. 일종의 ‘책임도’ 측정지표다. 추가적인 가치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응답자의 지지 성향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