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해 우리 정부에 관광객 신변안전을 보장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우리 측이 거부했다는 주장이 26일 나왔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홍익표(민주통합당) 의원은 이날 영등포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같이 밝히고 관련 문건을 공개했다.

홍 의원이 공개한 `금강산 관광 및 개성지구 관광재개를 위한 북남 실무접촉 합의서'에 따르면 남북은 2010년 2월8일 개성에서 금강산 관광과 개성지구 관광을 재개하기 위한 실무접촉을 하고, 중단된 관광사업 재개에 뜻을 같이했다.

합의사항은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남측 현대그룹 간 관광 관련 합의의 원만한 이행을 위한 적극 협력 ▲관광에 필요한 모든 편의와 관광객들의 신변안전 보장 ▲남측 체류인원들의 법ㆍ질서 준수 ▲개성지구 관광은 3월1일, 금강산 관광은 4월1일부터 재개 등 4개 항이다.

홍 의원은 이에 대해 "2009년 10월 임태희 당시 노동부장관과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싱가포르 접촉 이후 형성된 남북 간 대화국면이 실무회담으로 연결됐다"면서 "정부와 청와대 강경파들의 반발로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그동안 대정부질문과 상임위ㆍ국정감사장에서 여러 차례 의원들에게 북측이 금강산 관광객 신변안전에 대해 당국 간 논의, 회의만 해주면 관광을 재개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이미 2010년 2월 문서로 제시한 것을 통일부가 지금까지 숨기고 왜곡하고 발표하지 않은 것"이라며 "그새 개성공단 사업에 투자한 사업가는 물론이고 고성 지역 주민들의 삶이 피폐화됐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ljungber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