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의 대선 이후 정치적 진로를 둘러싼 정계개편론이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다.

양측은 이 문제를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캠프 관계자의 사견이나 민주당 내 인사들의 발언을 통해 정계개편론의 군불이 붙는 모양새다.

여기에는 문 후보와 안 전 후보가 지난 18일 새정치 공동선언에서 `국민연대'라는 큰 틀에서 대선 이후에도 변함없이 협력한다며 양측의 협력구도를 대선 이후까지 끌고가겠다고 합의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문 후보 측 김부겸 공동선대위원장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연대와 관련, "비슷한 가치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함께 하는 세력들끼리 이번엔 한 번 큰 그림을 그려보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문 후보 캠프의 의사와 무관하게 즉각 신당 창당론이 나왔다.

신기남 의원은 개인 성명에서 "문재인, 안철수는 단일정당 창당 대국민 선언을 하라"고 주장했다.

대선까지 20일 남짓한 기간에 진정한 쇄신을 이룰 수 없는 만큼 신당 창당 약속이야말로 강력한 쇄신과 통합의 결단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취지다.

민주당 전직 의원 74명도 27일 "두 사람은 하나의 새로운 정치세력의 탄생을 통해 국민 여망에 적극 부응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신당에 방점을 실었다.

이는 안 전 후보가 대선 이후에도 정치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피력한 상황이어서 불가피하게 신당 창당으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분석에 기인한다.

안 전 후보 캠프의 조용경 국민소통자문단장도 최근 기자들과 만나 "안 전 후보가 앞으로 새 정치를 하려면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해 관심을 모았다.

안 전 후보가 신당 창당 대신 포럼이나 연구소 형태의 조직을 만들어 정치적 기반을 갖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는 신당을 만들더라도 원내 의석수가 국회에 영향을 미칠 만한 수준이 못된다면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다만 대선결과에 따라 현역의원이 대거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면 `안철수 신당'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민주당의 강력한 쇄신을 전제로 안 전 후보의 입당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문 후보가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당내 원심력이 강해지면서 비노(非盧), 반노(反盧) 진영을 중심으로 안 전 후보를 구원투수로 옹립하려는 흐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양측은 말 그대로 시나리오일 뿐이라고 일축하는 분위기다.

양측 공히 내부에서 공식적으로 이 문제를 다룬 적이 없고 캠프 간 상의한 적도 없기 때문에 호사가들의 아이디어일 뿐이라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이광빈 기자 jbryoo@yna.co.kr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