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6일 회동에서 대선 승리 땐 양측이 새 정치 실현을 위해 긴밀히 협의하기로 하면서 문 후보 측이 주창해온 ‘공동정부론’이 실현될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관측이다.

문 후보와 안 전 원장은 회동에서 △새 정치 실현이 이 시대의 역사적 소망이라는 인식을 굳건히 한다 △국민의 여망인 정권교체와 대선승리를 위해 더 힘을 합친다 △대한민국 위기 극복과 새 정치를 위해 대선 후에도 긴밀히 협의한다 등 3개항에 합의했다.

특히 ‘대선 후 긴밀한 협의’가 명시된 것은 두 사람이 공동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문 후보는 이날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연대 출범식에 참석해 “제가 집권하면 지역 정파 정당을 넘어선 ‘초당파적 거국내각’을 구성한다는 마음으로 드림팀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거국 내각에는 결국 국민연대를 구성하는 민주당과 진보정의당, 시민사회 세력이 참여하게 된다. 여기에 유력 대선 후보였던 안 전 원장이 가세하면 자연스럽게 ‘대통령 문재인, 국무총리 안철수’의 구도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초 문 후보가 정치개혁 방안으로 ‘책임총리제’를 공약한 것도 이 같은 구도를 염두에 둔 것이란 분석이 적지 않았다.

이번 대선이 야권의 승리로 끝나면 인수위 단계에서부터 이 같은 구도가 본격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문 후보는 이날 국민연대 측에 “대선 승리는 물론, 대선 이후 새로운 정치질서를 만들어 나가는 비전까지 함께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재야 원로들로 구성된 ‘원탁회의’ 역시 문 후보와 안 전 원장 측 간 공동인수위 구성을 통해 차기 정부 출범 전부터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는 조언을 해왔다.

정치권 관계자는 “거국내각을 통해 안 전 원장의 국정 참여가 보장된다면 안 전 원장의 대통령 후보 사퇴 이후 부동층으로 유입됐던 세력을 다시 문 후보 쪽으로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