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표심을 다잡으려는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지역 개발공약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번에는 4대강 사업, 행정도시 이전 등과 같은 초대형 개발사업 공약은 자취를 감췄다. 대신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인천 광주 등 광역도시의 낙후된 도심 재생사업을 지원하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울산혁신도시 등 지역균형발전사업 활성화에 역점을 두는 모습이다.

전반적으로 재원 마련이나 구체적 추진방안 등은 미흡하다. 일부 공약들은 오랫동안 지속된 지역 숙원사업이어서 부동산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여야 간 역점 분야는 다소 차이

지역별로 보면 인천·대전·전북 등에서는 후보 간 공약 차이가 크지 않다. 두 후보 나란히 ‘2014 인천아시안게임’ 경기장 건립비를 국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부산 신공항건설 추진 △새만금 사업 전담기구 설치 △내포신도시(충남 도청이전지) 지원 △대전과학비즈니스벨트 지원 등의 공약은 비슷했다.

두 후보는 철도·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시설 분야 공약도 비슷하다. 박 후보는 새만금과 경북 김천을 잇는 동서횡단철도 조기 착공과 수도권 전철의 충청권 연장 방안, 동서고속철도(춘천~속초) 및 원주~강릉복선전철 등 교통망 확충을 내세웠다. 문 후보는 목포~부산 간 고속철도 건설사업 추진, 동서고속철도 건설 지원, 대구도시철도 1호선 연장 조기 준공, 부산~김해 간 경전철 지원 방안 마련 등을 주장했다.

지역 공약의 포괄적 방향에서는 두 후보 간 차이가 나타났다. 박 후보는 부산 인천 광주 등 지방 대도시권의 ‘도심재생사업’에 관심을 보였다. 인천의 경우 도시재생사업에 투자해 주거환경 개선을 유도하고, 광주도 충장로 등 구도심 활성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문 후보는 울산혁신도시와 충주기업도시 등 공공기관과 기업이전 도시의 활성화 방안에 힘을 실은 게 눈길을 끈다. 울산혁신도시에 신재생에너지 연구단지를 구축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재원 마련 등 실현 가능성은 ‘미흡’

대선은 항상 지역개발공약의 경연장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약간 다른 모습이다. 현 정부에 대해 ‘토건정권’이란 비판이 쏟아진 데다 개발공약에 대한 유권자들의 호응이 높지 않아서다. 최근 여야 후보들이 광주 새만금 대전 대구 등에 산업클러스터 조성과 교통망 확충방안을 경쟁적으로 내놨지만 반응은 예상외로 차분했다.

도로와 철도 신설, 신공항 건설 등 막대한 재원 확보가 필요한 개발공약도 대부분 선언 수준이다. 구체적 청사진도 없고, 재원마련 방안도 없는 상태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