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박물관 확장부지에서 신라 동궁 관아 항아리 발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주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남쪽 대지에서 깊이 9.6m의 통일신라시대 우물이 발견되고, 그 안에서 다음 왕위 계승자인 태자(세자)가 머무는 공간을 의미하는 ‘동궁’(東宮)이란 글자가 새겨진 같은 시대 토기가 발굴됐다.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 남산과 마주하는 국립경주박물관 남쪽 대지에서 발견한 통일신라시대 우물에서 동궁을 관할하는 관청인 ‘東宮衙(동궁아)’란 글자가 새겨진 호(壺·작은 항아리)를 발견했다고 13일 말했다.
이 유물은 지난 6월 공개된 ‘辛審(?)東宮洗宅(신심동궁세택)’이라는 글자 새김 청동 접시에 이어 동궁 관련 유물로는 두 번째 발굴품이다. 호 표면에 내려 새긴 ‘동궁아’라는 말은 삼국사기에서 경덕왕 11년(752) 설치한 ‘동궁아’란 관청을 지칭할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권39, 잡지(雜志) 직관(職官)에는 “동궁아는 경덕왕 11년에 설치했다. 상대사 1인과 차대사 1인을 두었다”(東宮衙,景德王十一年置,上大舍一人,次大舍一人)고 했다.
이번에 확인한 우물은 경주박물관 미술관 부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깊이 10.23m에 달하는 통일신라시대 우물과 위치가 인접한 데다, 규모나 전체 모양이 흡사해 더욱 주목을 끈다. 박물관 미술관 부지 우물에서는 머리를 아래로 향한 어린아이 인골이 발견돼 관심을 모았다. 지름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외려 넓어져 아래쪽이 110㎝ 정도다.
이번 조사에서는 도로를 비롯해 건물터, 담장, 우물, 배수로, 석조시설 등의 유적과 막새, 명문기와, 인화문(印花文土器), 벼루 등의 유물이 다량 확보됐다.
조사단은 이번 조사 대상지가 “신라 천년 왕성인 월성(月城) 남쪽의 도시계획과 가옥구조, 규모 등의 기초자료 확보에 의의가 있으며, 황룡사지 동쪽 지구 발굴조사에 이어 신라 방리제(坊里制·고대 도시구획제도)에 의한 신라 왕경 공간구조와 성격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 남산과 마주하는 국립경주박물관 남쪽 대지에서 발견한 통일신라시대 우물에서 동궁을 관할하는 관청인 ‘東宮衙(동궁아)’란 글자가 새겨진 호(壺·작은 항아리)를 발견했다고 13일 말했다.
이 유물은 지난 6월 공개된 ‘辛審(?)東宮洗宅(신심동궁세택)’이라는 글자 새김 청동 접시에 이어 동궁 관련 유물로는 두 번째 발굴품이다. 호 표면에 내려 새긴 ‘동궁아’라는 말은 삼국사기에서 경덕왕 11년(752) 설치한 ‘동궁아’란 관청을 지칭할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권39, 잡지(雜志) 직관(職官)에는 “동궁아는 경덕왕 11년에 설치했다. 상대사 1인과 차대사 1인을 두었다”(東宮衙,景德王十一年置,上大舍一人,次大舍一人)고 했다.
이번에 확인한 우물은 경주박물관 미술관 부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깊이 10.23m에 달하는 통일신라시대 우물과 위치가 인접한 데다, 규모나 전체 모양이 흡사해 더욱 주목을 끈다. 박물관 미술관 부지 우물에서는 머리를 아래로 향한 어린아이 인골이 발견돼 관심을 모았다. 지름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외려 넓어져 아래쪽이 110㎝ 정도다.
이번 조사에서는 도로를 비롯해 건물터, 담장, 우물, 배수로, 석조시설 등의 유적과 막새, 명문기와, 인화문(印花文土器), 벼루 등의 유물이 다량 확보됐다.
조사단은 이번 조사 대상지가 “신라 천년 왕성인 월성(月城) 남쪽의 도시계획과 가옥구조, 규모 등의 기초자료 확보에 의의가 있으며, 황룡사지 동쪽 지구 발굴조사에 이어 신라 방리제(坊里制·고대 도시구획제도)에 의한 신라 왕경 공간구조와 성격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