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 측은 투표일을 불과 사흘 앞둔 16일 선거운동의 핵심 전략을 투표율 높이기에 맞추고 있다.

문 후보의 전통적 지지층과 중도층ㆍ부동층을 향한 선거전이 마무리 단계에 이른 만큼 이제는 이들을 실제 투표장에 나오게 하는 것이 막판 관건이라는 판단에서다.

문 후보 측은 3천만명이 투표에 참여해 77%의 투표율을 달성하자는 `377' 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내심 투표율이 70%를 넘으면 문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특히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 비해 문 후보 지지율이 높지만 투표 참여도가 낮은 20~30대 젊은층의 투표율을 올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 후보 측은 20~30대를 겨냥해 투표 참여를 호소하는 별도 동영상을 만들고, 2천km를 이동해 재외국민 투표에 참여한 인도 교민 김효원 씨의 사례를 소재로 한 TV광고까지 제작했다.

또 `377'을 달성하기 위해 주변의 투표참여를 독려하고 대통령 당선시 추첨을 통해 동반여행, 취임식 참석 등을 내건 `문안(문재인-안철수) 드림 3.77 펀드' 가입 행사를 진행 중이다.

지지자들을 향해 ▲매일 10명 이상 지지자 만들기 ▲하루 10통 이상 전화걸기 ▲하루 한 번 이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문 후보 알리기 ▲지역별 유세에 적극 참여하기 등 캠페인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이와 함께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의 적극적인 투표참여 캠페인이 젊은 층의 투표율 제고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 후보 측은 "재외국민 투표율이 71.2%로 높아지고, 부재자투표율 역시 92.3%로 높다"며 "이들을 실제 투표율의 선행지표로 본다면 70% 투표율은 달성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 측은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부산ㆍ경남(PK)을 핵심 공략지역으로 꼽고 있다.

이들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은데다 각종 여론조사상 부동층이 가장 많이 몰려있는 곳이라는 판단에서다.

수도권은 유권자의 절반가량이 몰려있고 문 후보가 호남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박 후보에게 뒤지는 여론조사가 많아 수도권에서 이를 만회하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PK는 이명박 정부 들어 반여정서가 심해진데다 문 후보의 연고지인 만큼 바람만 불어준다면 40% 득표율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문 후보는 주소지가 부산 사상구로 돼 있어 마지막 유세를 부산에서 개최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문 후보는 첫 유세와 마지막 유세를 모두 부산에서 갖는 셈이다.

15~17대 대선에 출마했던 민주당 계열 김대중-노무현-정동영 후보는 모두 마지막 유세를 서울 명동에서 가졌다.

문 후보 측은 선거전 막판 터진 새누리당의 `오피스텔 불법댓글' 사건이 부동층의 표심을 잡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권자들을 향해 `이명박근혜 공동책임론'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키는 것도 막판 전략의 하나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