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 충북, 이번 대선서도 '캐스팅 보트' 역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역대 대선 충북서 승리한 후보 '당선'
제18대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역대 대선 때마다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했던 충북 표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야는 충북 유권자의 선택이 선거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대선이 득표율 1%가 당락을 좌우하는 박빙의 게임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실제 15대 대선에서 승리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는 전체 득표율에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1.5%포인트인 39만557표 앞섰지만 충북에선 이 후보와의 격차를 6.6%포인트(5만2426표)로 벌렸다. 충북이 전국적인 표차의 13%가량을 김 후보에게 얹어준 것이다.
이 지역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3%대에 불과했던 점을 감안하면 충북 유권자들의 지지가 김 후보 당선의 '일등공신'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노무현 새천년 민주당 후보와 한나라당 이 후보가 맞붙었던 16대 대선 때도 사정은 비슷했다. 당시 두 후보 간 전국 득표율 격차는 2.3% 포인트(57만980표)에 불과했으나 충북에선 7.5%(5만4579표)로 차이가 컸다. 노 후보와 이 후보 간 전체 득표 차이의 10%가량이 충북에서 나온 것.
18대 대선에서도 충북은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 올해 4월에 치른 19대 총선에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전국 득표율은 42.8%와 36.4%였다. 양당의 충북지역 득표율도 전국 득표율과 흡사했다. 당시 충북에서 새누리당은 43.8%, 민주당은 36.0%를 얻었다.
충북이 각종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민심의 풍향계'로 불리는 이유다. 선거를 하루 앞둔 18일 여·야는 충북에서 우세를 점했다고 주장하며 대선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선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충북 유권자 특유의 속성상 투표함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어느 후보가 승리할지 점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충북의 표심이 승패를 가르는 '캐스팅 보트' 역할을 계속 이어갈 지 관전 포인트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
제18대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역대 대선 때마다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했던 충북 표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야는 충북 유권자의 선택이 선거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대선이 득표율 1%가 당락을 좌우하는 박빙의 게임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실제 15대 대선에서 승리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는 전체 득표율에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1.5%포인트인 39만557표 앞섰지만 충북에선 이 후보와의 격차를 6.6%포인트(5만2426표)로 벌렸다. 충북이 전국적인 표차의 13%가량을 김 후보에게 얹어준 것이다.
이 지역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3%대에 불과했던 점을 감안하면 충북 유권자들의 지지가 김 후보 당선의 '일등공신'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노무현 새천년 민주당 후보와 한나라당 이 후보가 맞붙었던 16대 대선 때도 사정은 비슷했다. 당시 두 후보 간 전국 득표율 격차는 2.3% 포인트(57만980표)에 불과했으나 충북에선 7.5%(5만4579표)로 차이가 컸다. 노 후보와 이 후보 간 전체 득표 차이의 10%가량이 충북에서 나온 것.
18대 대선에서도 충북은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 올해 4월에 치른 19대 총선에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전국 득표율은 42.8%와 36.4%였다. 양당의 충북지역 득표율도 전국 득표율과 흡사했다. 당시 충북에서 새누리당은 43.8%, 민주당은 36.0%를 얻었다.
충북이 각종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민심의 풍향계'로 불리는 이유다. 선거를 하루 앞둔 18일 여·야는 충북에서 우세를 점했다고 주장하며 대선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선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충북 유권자 특유의 속성상 투표함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어느 후보가 승리할지 점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충북의 표심이 승패를 가르는 '캐스팅 보트' 역할을 계속 이어갈 지 관전 포인트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