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앞으로 4개월간 당을 책임질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을 28일 선출한다. 내년 5월 초까지가 임기인 새 원내대표는 대선 이후 첫 국민의 심판대가 될 내년 4월 재·보궐 선거 전까지 당을 정상화해야 하는 책무를 지닌다. 안철수 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추진하는 ‘신당창당’ 세력과의 관계정립도 풀어야 할 숙제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27일 신계륜(4선·서울 성북을), 박기춘(3선·경기 남양주을), 김동철(3선·광주 광산갑) 의원 등 총 3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중진·원로그룹을 중심으로 당내 비주류 좌장격인 김한길 의원 추대론에 힘이 실리는 듯했으나 결국 3파전 경선으로 가닥이 잡혔다. 당초 출마 쪽으로 기울었던 전병헌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 제 정파 및 계파는 기득권을 내려놓고 원내지도부를 합의 추대하길 바란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신 의원은 당내 주류를 이루는 친노(친노무현)·486(40대·80년대 학번) 세력에 속한다. 고 김근태 상임고문계였지만 2002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내면서 범친노 인사로 분류된다. 19대 국회에서는 초선 의원들이 다수 참여한 ‘민주동행’이라는 당내 모임을 이끌고 있다.

현재 원내대표 권한 대행을 맡고 있는 박 의원은 18, 19대 국회에서 원내 수석부대표를 두 차례 역임해 원내 현안에 밝다는 평가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가까운 그는 계파색이 옅고 중도파다. 박 의원은 당선되면 선택과 집중을 위해 원내대표직만 수행하고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놓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박 의원은 출마 기자회견에서 “현역의원만 비대위원장을 맡는 현행 방식은 맹점이 있다”며 “중차대한 이 시점에서 당의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위해 원외 인사나 국회 상임위원장들도 비대위원장에 나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당내 비주류인 ‘쇄신모임’ 소속이다. 그는 대선후보 경선에서 2위를 차지했던 손학규 전 상임고문계로 손 대표 시절 비서실장을 지냈다. 김 의원 등 비주류 쇄신파는 친노·486 세력의 대선 패배 책임론을 제기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