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권이 출범하면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반대 정파의 핵심 인물에 대한 처리다. 전통시대 역시 이런 고민이 컸다. 정권 창출에 장애가 됐던 인물에 대한 회유가 성공하지 못할 경우 그를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고려 최고의 충신이지만 조선 건국에는 눈엣가시가 되었던 정몽주(1337~1392). 이성계 세력은 그에 대한 회유를 계속했지만 정몽주는 끝까지 거부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몽주의 죽음에 대해 이방원이 휘두른 철퇴에 의해 피를 흘리며 쓰러졌고 그 피가 아직도 선죽교에 남아 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를 알고 있다. 과연《조선왕조실록》은 정몽주의 죽음을 그렇게 기록하고 있을까.《태조실록》총서에는 정몽주가 죽게 된 원인이 그가 연명(連名)으로 글을 올려 조준·정도전 등의 목 베기를 청한 것 때문이라고 기록돼 있다. 정몽주가 선공을 가하자,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이 나섰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제거할 것을 청했으나, 이성계가 이를 허락하지 않자 휘하의 군사들을 이끌고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실록의 기록을 보자.

‘(조)영규·조영무·고여·이부 등으로 하여금 도평의사사에 들어가서 정몽주를 치게 했는데, 변중량이 그 계획을 정몽주에게 누설했다. 정몽주가 이를 알고 태조의 사제(私第)에 나와서 병을 위문했으나, 실상은 변고를 엿보고자 함이었다. 태조는 정몽주를 대접하기를 전과 같이 했다. 이화가 전하(태종)에게 “정몽주를 죽이려면 이때가 그 시기입니다”라고 말했다. 이미 계획을 정하고 나서 이화가 다시 말하기를 “태조께서 노하시면 두려운 일인데 어찌하겠습니까”라고 하면서 의논이 결정되지 못했다. 이방원이 말하기를, “기회는 잃어서는 안 된다. 태조께서 노하시면 내가 마땅히 대의로써 아뢰어 위로하여 풀도록 하겠다”고 하고는 이에 노상에서 치기를 모의했다.’

당시 태조는 정몽주 제거에 반대했으나 이방원은 휘하의 사병들을 동원하고 독자적으로 정몽주 제거에 나선 것이다. 이어지는 기록을 보자.

‘전하는 다시 조영규에게 명해 상왕(정종)의 저택으로 가서 칼을 가지고 곧바로 정몽주의 집 동리 입구에 이르러 몽주를 기다리게 하고 고여·이부 등 두서너 사람으로 그 뒤를 따라가게 했다. 정몽주가 집에 들어왔다가 머물지 않고 곧 나오니, 전하는 일이 성공되지 못할까 염려되어 친히 가서 지휘하고자 했다. (…) 이때 전 판개성부사 유원이 죽었는데, 정몽주가 지나면서 그 집에 조상하느라고 지체하니 이 때문에 영규 등이 무기를 준비하고 기다리게 됐다. 정몽주가 이르매 영규가 달려가서 쳤으나, 맞지 아니했다. 몽주가 그를 꾸짖고 말을 채찍질하여 달아나니, 영규가 쫓아가 말머리를 쳐서 말이 넘어졌다. 몽주가 땅에 떨어졌다가 일어나서 급히 달아나니, 고여 등이 쫓아가서 그를 죽였다.’

정몽주는 이방원의 부하 조영규 등이 휘두른 철퇴에 맞아 단번에 쓰러진 것이 아니라, 처음 철퇴를 피해 달아나다가 말에서 떨어진 후 죽은 것으로 돼 있다. ‘그가 흘린 핏자국이 선죽교에 남아 있었다’는 전언은 실록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이처럼《조선왕조실록》에는 정몽주의 죽음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것과는 다르게 평범하게(?) 기록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태조실록》을 편찬한 것이 태종 때인 사실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 선죽교 핏자국의 진실은 무엇일까. 아마 정몽주가 피살된 직후 선죽교에는 붉은 흔적이 있었고, 이것을 정몽주의 피라고 인식하는 믿음들이 후대에 퍼져 진실로 확정됐다고 판단된다.

후대의 시인, 묵객들도 이런 사실을 당연시하면서 시를 썼다. 허균의 시문집인《성소부부고》의 ‘포은(圃隱)의 구택(舊宅)을 지나면서 노래하다’는 시에서도 선죽교의 피는 당연히(?) 정몽주의 흔적임을 노래하고 있다.
자신의 소신과 원칙을 지켜 정권에 타협하지 않고 죽음의 길을 택한 정몽주. 일시적인 권력과 부귀영화 대신에 정도와 원칙을 택한 정몽주에 대한 기억은 선죽교의 피와 비석으로 구현돼 현재에도 살아나고 있다.

신병주 < 건국대 교수 >

▶원문은 한국고전번역원(itkc.or.kr)의 ‘고전포럼-고전의 향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