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선 결과 자민당 내 파벌이 덩치를 크게 불리면서 '파벌 정치' 구태가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요미우리신문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인 마치무라(町村)파는 총선 결과 소속 의원이 약 43명에서 80명으로 늘었다.

초선 의원 22명이 한꺼번에 가입했기 때문이다.

마치무라파는 총선 전까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몸을 담았던 파벌이라는 점에서 '여당 내 여당'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파벌도 몸집을 불렸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가 이끄는 아소파는 의원이 12명에서 30명으로 증가했다.

2위 파벌인 누카가(額賀)파는 소속 의원이 28명에서 51명으로 늘면서 파벌 사무소 이전을 고민해야 할 형편이다.

기존 사무소가 좁아서 파벌 총회를 열기 어렵기 때문이다.

파벌의 영향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은 당 총재 경선에 앞서 추천인 20명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다.

총선 전에는 이런 능력이 있는 '메이저 파벌'이 3개 뿐이었지만 이제는 5개로 늘었다.

파벌의 덩치가 커지면서 '파벌 정치'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자민당 파벌은 인사나 선거에서 소속 의원을 지원하는 대신 총재 경선시 행동 통일을 요구한다.

밀실에서 총리와 장관, 정치자금, 심지어 각종 정책까지 결정하는 게 자민당 파벌이다.

아베 총리 등 당 지도부는 장관 인사에 앞서 "파벌의 요청을 아예 듣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구태가 되풀이될 경우 내년 7월 참의원 선거에서 대패할 수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젊은 의원들도 2009년 총선 패배 후 파벌이 뒤를 봐주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파벌이 무슨 필요냐"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파벌의 의원 교육 기능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고개를 들고 있다.

민주당은 파벌이 없었던 탓에 사분오열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아베 총리와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간사장이 '파벌 정치 탈피'를 외치면서도 각각 '창생일본'과 '고사리회'라는 의원 모임을 이끌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chung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