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대량 폐업에 따른 신용불량자 양산 우려"

지난해 부도가 난 자영업자 두 명 중 한 명은 5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연령에 본격 진입한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 사이에 창업이 인기를 끌지만 제대로 준비를 안 하면 '파산'으로 불우한 노후를 맞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3일 금융결제원의 당좌거래 정지 내역을 보면 2012년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를 맞은 자영업자는 총 338명으로 파악됐다.

이중 만 50~59세(1953~1962년생)의 자영업주는 159명으로 전체의 47.0%다.

60대 이상(26.6%)이나 40대(22.2%)보다 두 배 가까이 많다.

전년도와 비교해도 50대의 상황은 악화했다.

2011년 부도 자영업자 391명 중 50대(1952~1961년생)는 172명으로 44.0%였다.

1년 만에 3%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50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와 동시에 창업에 뛰어들며 발생한 현상으로 풀이된다.

1955년생은 2010년부터 정년(55세)을 맞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50대 자영업자 수는 총 175만6천명에 달한다.

159만5천명(2009년)→160만8천명(2010년)→169만7천명(2011년)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엔 처음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30% 이상을 점하며 창업 열풍을 주도했다.

그러나 이들의 창업분야는 음식점, 호프집 등 저수익ㆍ과당경쟁 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09년 국세통계를 분석한 결과 창업자 100명 중 35명(35.1%)이 음식점, 의류점, PC방 등 경기를 많이 타는 생활밀접형 사업에 뛰어들었다.

특히 40대와 50대에선 음식점의 비중이 높았다.

과당경쟁에 내몰려 문을 빨리 닫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KB금융지주에 따르면 창업 3년 안에 휴ㆍ폐업한 자영업자가 전체의 47%에 달한다.

지금부터 3년안에 폐업 계획이 있다는 50대 자영업자는 9.5%(보건사회연구원)로 40대(9.5%)보다 높다.

벌이도 신통치 않다.

지난해 50대 자영업자의 개인소득은 2천896만원으로 40대(3천537만원)나 40대 미만(3천88만원)에 못 미쳤다.

부채에 관한 공식 통계는 없지만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50대와 자영업자 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각각 121.6%와 146.1%로 전체가구 평균 103.6%보다 나쁘다.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런 식의 창업이 지속한다면 대량 폐업과 도산은 물론 신용불량자, 실업자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은퇴자의 자금과 청년의 아이디어를 맞춰 공동 창업을 유도하는 등 베이비 붐 세대 창업 특화 프로그램을 만들 필요가 있다"며 "이들의 중소기업 재취업을 늘려 사회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bang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