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수장, 신년인사회서 `패러다임 전환' 강조

금융당국 수장들이 올해 금융권의 화두로 `위기의식'과 `사회적 책임'을 제시했다.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 모두 `패러다임의 전환'을 강조하고 금융정책과 금융회사 경영에 새 정부의 경제민주화 정신이 반영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3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 금융기관 신년 인사회'에서 "새해 우리 금융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운용의 패러다임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금융산업의 건전성이 우리 경제 시스템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라는 점을 인식하고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적 성장만 지원하는 금융은 더는 유효하지 않다"며 "중소기업과 서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소비자 보호도 한층 강화해 우리 사회가 기대하는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가계부채 문제는 "채권자인 금융회사가 스스로 책임을 나눌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도 약속했다.

김 위원장은 "자금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은 확실히 지원한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라며 "가계부채와 함께 중소기업의 자금사정을 살펴볼 최강의 팀을 구성했다"고 말했다.

권혁세 금감원장도 이날 행사에서 "새해 우리 경제와 금융의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만큼 긴장의 끈을 더욱 조이고 대응 태세를 철저히 정비해야 한다"며 가계ㆍ기업 부실의 확산 방지를 금융권 과제로 꼽았다.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가계부채와 하우스푸어 문제는 금융권 모두 머리를 맞대고 협력해야 해결할 수 있는 만큼 금융권 공동의 하우스푸어 지원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견해를 거듭 밝혔다.

구체적인 해결방안은 "실무진에서 연구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이어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으로 정착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혁신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로 대표되는 금융 환경 변화에 대비해 위험을 기회로 전환하는 지혜를 모으자"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고은지 기자 zheng@yna.co.kre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