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대선 패배 이후 당 정책 노선을 놓고 공방을 계속하고 있다. 당 정책 노선이 ‘좌클릭’한 게 대선 패배의 한 이유였다며 수정 목소리가 커지면서 당내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계파 간 주도권 경쟁이 당 정체성 논쟁으로 비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3일 고위정책회의에서 “우리의 정책 노선도 성역이 될 수 없다. 낡은 이념에서 벗어나 진짜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그래야만 50대 중산층의 삶을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전날에도 “(계파 이기주의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대선) 정책으로 이어졌다”며 정책 노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민주당은 중도개혁으로 ‘우클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박 원내대표와 상임고문단 간 회동에서도 당 노선에 대한 전면 재검토 요구가 나왔다. 임채정 고문은 “당의 진로와 노선에 대해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며 “민주당 불신에 따른 ‘안철수 현상’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가 큰 숙제”라고 했다. 신기남 고문은 “당 진로 문제는 전당대회에서 진검승부를 통해 결론짓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노동계 출신의 진보성향 의원들은 정면으로 맞섰다. 김기식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원인 진단도 잘못됐을 뿐만 아니라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오히려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새누리당조차도 보편적 복지와 경제민주화 (같은) 민주당의 노선을 좇아오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무상급식’ 이슈 등을 내세워 승리한 2010년 6·2 지방선거 이후 강령 및 정강정책에 진보적 색채를 강화해 왔다. 2010년 10·3 전당대회에서 개정된 강령에서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임을 선언하고 처음으로 ‘보편적 복지국가’를 명시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