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을 때 국민소득이 변화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경제현상은?

기준금리 인하 →통화량 증가 →시중 이자율 하락 →( ) →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 증가

(1) 환율 상승 (2) 투자 감소 (3) 저축 증가 (4) 소비 감소 (5) 자산가격 하락


해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면 대부시장, 외환시장, 자산시장 등 여러 경로를 통해 궁극적으로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75%로 결정했다는 것은 단기 금융상품인 만기 7일짜리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가 연 2.75%가 되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는 뜻이다. 통화정책 수단에는 공개시장 조작, 지급준비율 조정, 대출(재할인율 정책) 등이 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변경하면 먼저 단기 금융상품의 이자율이 영향을 받고 이어 장기 금융상품 금리가 움직이는 형태로 금융시장에 파급된다. 기준금리를 낮추면 통화량이 증가하고 이자율이 낮아져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고, 국내 금융상품 등에 투자하려는 외국 돈의 유입이 줄어 원화 가치가 떨어져(환율 상승) 수출이 늘게 된다.

또 예금 금리가 낮아져 저축보다는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려는 유인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때론 기준금리를 낮추고 통화량을 늘려도 소비나 투자가 살아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유동성 함정이라고 한다.

정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