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겨울 전력난 대책으로 신규 도입한 ‘선택형 피크요금제’가 기업들의 저조한 참여실적으로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6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선택형 피크요금제의 계약 기업 수는 정부 목표치의 3분의 1 수준인 800여개에 그쳤다. 앞서 한전은 지난 한 달 동안 계약전력 300~3000㎾ 미만 산업체 및 일반 상업·오피스 건물을 대상으로 신청 접수를 했다.현행 요금제에서는 중간부하(9~10시, 12~17시, 20~22시)시 요금은 ㎾h당 98.4원이다. 선택형 피크요금제를 적용하면 비피크일 중간부하 요금은 ㎾h당 66.7원으로 30원가량 낮은 반면 피크일 중간부하 요금은 162.8원으로 50원 이상 높다.

지식경제부는 이 요금제에 대한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 올겨울 전력피크일의 시간별 평균 전력수요를 20만㎾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었다. 계약업체 수로는 2500~3000개에 해당한다.

20만㎾가 수치상으론 작아보이지만 전력수급이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에선 가뭄의 단비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많은 기업체들이 전기료 할인 혜택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선택형 피크요금제 참여를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관계자는 “지경부와 협의를 통해 요금체계와 지원혜택을 더 다듬어 올여름 대책에 다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7일부터 전기 다소비 건물의 실내온도에 대한 본격적인 단속에 나선다. 실내온도를 20도 이하로 낮추지 않으면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1회 적발시)가 부과된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 선택형 피크요금제

1~2월 59일 동안 한전이 지정한 열흘가량의 전력피크일에는 3~5배의 높은 요금을 물리는 대신 비(非)피크일(49일)에는 평상시보다 요금을 더 할인해주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