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이번 선거에서 ICT산업 정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얘기했죠. 이번 주는 김민선 한국은행 산업분석팀 조사역이 ICT 경기의 주요 특징과 전체 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A.


○산업별로 다른 경기 흐름

사람들은 흔히 일상생활에서 “경기가 좋다” 혹은 “경기가 나쁘다”는 말을 종종 사용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경기란 기업들이 생산하고 개인 및 가계가 소비하면서 변화하는 경제활동의 수준 혹은 상태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예요.

경기는 장기적으로 가계 소비규모나 기업의 생산이 오랜 시간에 걸쳐 늘어나는 추세를 보입니다. 그러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여러 요인에 의해 장기 성장 추세를 중심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특성을 갖습니다. 예를 들면 한 나라 전체의 경기흐름을 이야기할 때 주로 쓰는 실질 GDP(국내총생산)는 장기추세선을 중심으로 마치 물결의 파동과 같이 반복적으로 출렁이는 흐름을 보이지요.

하지만 경기는 한 나라 전체 경제에만 국한된 개념은 아닙니다. 필요에 따라 소비, 투자와 같은 부문별 경기를 볼 수도 있습니다. 또 제조업, 건설업과 같은 각 산업의 경기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전체 경기가 호황기라고 하더라도 특정 산업은 불황기인 경우가 있으며, 특정 산업의 경기가 전체 경기보다 앞서 움직이면서 전체 경기의 흐름을 주도하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ICT산업 경기 변동성, 다른 산업보다 커

우리나라에서는 ICT산업이 경제 성장을 이끄는 주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정보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요. ICT(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산업은 IT산업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정보·통신·기술업을 포괄한다는 의미에서 좀 더 정확한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ICT산업은 빠른 기술혁신과 정보화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놀라운 속도로 성장해 왔습니다. ICT산업의 생산 증가율은 발전 초기 단계인 1995년 이후 계속해서 경제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해 왔죠.

그런데 ICT산업의 경기변동 순환 사이클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 경기에 비해 변동폭이 크고 지속성이 낮은 특징을 보입니다. 1980~2011년 중 ICT 경기 사이클의 진폭은 5.6으로 전산업(2.4)의 두 배 이상이었어요. 순환주기는 외환위기를 기준으로 이전 14.6분기에서 이후 8.4분기로 크게 단축됐죠. 이는 경기의 정점과 저점 사이의 간격이 크고 불황과 호황의 전환이 빨라졌다는 뜻입니다.

○ICT산업의 두 얼굴

ICT산업의 경기변동 특징은 과연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우선 ICT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전체 경기도 ICT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죠. ICT산업이 우리나라 전체 경기의 변동성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전체 경기변동의 주된 요인은 바로 ICT산업이었습니다.

또 ICT산업은 경기 사이클이 짧아 전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어요. 산업이 추세적으로는 성장하고 있지만 그 안에서 호황과 불황이 짧은 주기로 반복하고 있어서 기업들이 고용을 주저하는 것이죠. 실제로 ICT산업의 빠른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고용 증가율은 그에 미치지 못합니다. 산업이 성장하면 그만큼 그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늘어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이야기이지요.

이처럼 ICT산업은 경제 성장에 큰 기여를 하는 주력 산업이지만, 동시에 국내 전체 경기의 변동성을 키우고 고용 효과를 약화시켜 안정적이고 균형된 성장을 방해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따라서 ICT산업이 전체 경기의 변동성을 높이는 등 경제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정책 당국도 ICT 경기 사이클의 변화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합니다. 동시에 ICT산업의 성장이 자연스럽게 고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ICT 관련 서비스업의 발전에도 더욱 힘써야 하겠습니다.

김민선 < 한국은행 산업분석팀 조사역 >


■ 독자 퀴즈

생산, 소비, 투자 등 국민 경제의 총체적인 활동 수준을 일컫는 용어는 무엇일까요?

①경제주체 ②경제객체 ③경기 ④경제학 ⑤경제행위

▷퀴즈 응모요령:‘한경닷컴 재테크’(http://ft.hankyung.com/) 코너에서 매주 토요일까지 정답을 맞힌 응모자 중 추첨을 통해 10분께 CGV 영화상품권을 2장씩 드립니다. 당첨자는 매주 월요일 한경닷컴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합니다.

제공 CGV

한경 · 한국은행 공동기획
문의 : 한은 홍보전략팀 02-759-4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