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진重 갔지만…노조도 외면한 '정치버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년3개월만에 다시 시동 '158억 손배 철회' 요구
노·노갈등에 참여 저조…시민 "피해 입을까 걱정"
노·노갈등에 참여 저조…시민 "피해 입을까 걱정"
2011년 한진중공업 파업 사태를 지원하기 위해 시작한 ‘희망버스’가 1년3개월 만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이들은 한진중공업이 노조 측에 건 손해배상 철회와 울산 현대차 ‘비정규직의 전원 정규직화’를 지지하는 등 여전히 장외 정치투쟁을 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절망의 노동현장’에 ‘희망’을 보여줬다는 시위 참가자들의 반응도 있었지만 휘청거리는 지역경제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장외투쟁 자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도 만만찮았다.
○사측 “개인에 대한 손배 아니다”
지난 5일 버스시위대(일명 희망버스)는 부산 영도구에 있는 한진중공업을 찾아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강서 씨를 추모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노동계가 요구한 것은 한진중공업이 제기한 158억원 손해배상의 조건 없는 철회였다. 한진중공업 노조원이던 고 최강서 씨는 ‘민주노조 사수, 158억원 손배·가압류 철회’를 유서에 남기고 숨졌다. 앞서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 한진중공업지회 등이 구성한 ‘한진중공업 최강서 열사 투쟁위원회’는 정치인 일반인 등 1만7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부산지법에 한진중공업이 노조를 상대로 낸 158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이 부당하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오는 18일 1심 판결을 앞두고 있다. 민주노총과 시민단체들로 이뤄진 비상시국회의는 사측의 태도에 변화가 없다면 다시 희망버스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진중공업 사측의 입장도 단호했다. 손해배상 소송액 158억원은 2010년부터 계속된 파업으로 회사가 입은 재산·금전상 손해액이며, 조합 간부 등 개인에 대한 민사상 손배소와 형사 고소·고발은 이미 합의한 대로 모두 취하했다며 맞서고 있다. 손해배상 소송은 노조의 불법행위로 손해를 입은 부분에 대한 소송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바이어들이 발길을 돌려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노·노 갈등에 현대차 노조도 외면
추운 날씨 탓도 있었지만 명분이 퇴색한 집회 참석자는 예전 같지 않았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인원은 민주노총 조합원과 시민단체 회원 등 3000여명(경찰 추산 1800여명). 지난해 다섯 차례 열린 희망버스 평균 집회 참석자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지난해 1차 집회를 제외한 네 번의 집회에는 4000~1만명이 참석했다.
버스시위대는 이날 오후 4시께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송전철탑 농성장도 찾았다. 하지만 그동안 비정규직 투쟁에 힘을 보탰던 현대차 정규직 노조원들도 이날 희망버스 집회를 외면했다. 지난해 말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 노조의 정규직화 방안을 정면으로 반대하며 노·노 간 갈등이 심해진 것이 주원인이라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이날 울산에서 처음으로 희망버스 집회를 지켜본 지역 주민들은 “노동계와 시민단체들이 약자편을 드는 것은 수긍하지만 이렇게 외부에서 개입하기 시작하면 사태가 풀리기는커녕 더욱 꼬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정치적인 개입으로 풀 수는 없고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면도 있다”며 시위 자제를 촉구했다.
부산/울산=김태현/하인식 기자 hyun@hankyung.com
○사측 “개인에 대한 손배 아니다”
지난 5일 버스시위대(일명 희망버스)는 부산 영도구에 있는 한진중공업을 찾아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강서 씨를 추모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노동계가 요구한 것은 한진중공업이 제기한 158억원 손해배상의 조건 없는 철회였다. 한진중공업 노조원이던 고 최강서 씨는 ‘민주노조 사수, 158억원 손배·가압류 철회’를 유서에 남기고 숨졌다. 앞서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 한진중공업지회 등이 구성한 ‘한진중공업 최강서 열사 투쟁위원회’는 정치인 일반인 등 1만7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부산지법에 한진중공업이 노조를 상대로 낸 158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이 부당하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오는 18일 1심 판결을 앞두고 있다. 민주노총과 시민단체들로 이뤄진 비상시국회의는 사측의 태도에 변화가 없다면 다시 희망버스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진중공업 사측의 입장도 단호했다. 손해배상 소송액 158억원은 2010년부터 계속된 파업으로 회사가 입은 재산·금전상 손해액이며, 조합 간부 등 개인에 대한 민사상 손배소와 형사 고소·고발은 이미 합의한 대로 모두 취하했다며 맞서고 있다. 손해배상 소송은 노조의 불법행위로 손해를 입은 부분에 대한 소송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바이어들이 발길을 돌려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노·노 갈등에 현대차 노조도 외면
추운 날씨 탓도 있었지만 명분이 퇴색한 집회 참석자는 예전 같지 않았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인원은 민주노총 조합원과 시민단체 회원 등 3000여명(경찰 추산 1800여명). 지난해 다섯 차례 열린 희망버스 평균 집회 참석자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지난해 1차 집회를 제외한 네 번의 집회에는 4000~1만명이 참석했다.
버스시위대는 이날 오후 4시께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송전철탑 농성장도 찾았다. 하지만 그동안 비정규직 투쟁에 힘을 보탰던 현대차 정규직 노조원들도 이날 희망버스 집회를 외면했다. 지난해 말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 노조의 정규직화 방안을 정면으로 반대하며 노·노 간 갈등이 심해진 것이 주원인이라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이날 울산에서 처음으로 희망버스 집회를 지켜본 지역 주민들은 “노동계와 시민단체들이 약자편을 드는 것은 수긍하지만 이렇게 외부에서 개입하기 시작하면 사태가 풀리기는커녕 더욱 꼬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정치적인 개입으로 풀 수는 없고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면도 있다”며 시위 자제를 촉구했다.
부산/울산=김태현/하인식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