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위험이 높은 '정신건강 고위험자'가 전국적으로 368만 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정신건강 고위험자 관리체계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정신건강 고위험자는 약 368만1943명이다. 전체 인구 중 27.6%는 평생 1번 이상 정신건강 질환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신건강 고위험자는 스트레스 처리 등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다. 이혼·별거, 실직, 사별을 경험한 경우가 많다. 상당수는 우울증을 앓아 일반인보다 자살에 이를 확률이 높다.

성별로 보면 여성(258만5955명)이 남성(109만8847명)의 2.4배였다.

이들에 대한 관리와 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82.8%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고 답했다. 하지만 전문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9%에 불과했다.

정진욱 초빙연구위원은 "정신건강 고위험자를 관리하기 위해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사회복지관과의 연계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open@hankyung.com



한경닷컴 최인한 기자 janus@hakyung.c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