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청와대 조직을 어떻게 바꿀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당선인은 조직과 인력을 축소해 '작은 청와대'를 만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력 핵심으로 불리는 비서실장이나 수석비서관 등의 '권한 줄이기'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박 당선인이 대선후보 시절 내놓은 정치쇄신 공약과도 맞닿아 있다. 박 당선인은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하는 내용의 정치개혁안을 발표한 바 있다.

발표된 공약으로 미뤄볼 때 기존 청와대 조직 중 개편이 불가피한 자리는 민정수석비서관이다.

민정수석의 주요 기능은 친인척 및 측근 관리, 공직기강 확립 등 사정, 인사 검증 등으로 요약된다. 박 당선인이 신설하기로 한 특별감찰관제와 기회균등위원회의 역할과 중복되기 때문.

박 당선인은 특별감찰관제를 만들어 친인척 및 주요공직자의 권력형 비리를 감시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또 기회균등위를 통해 지연이나 학연 등 인맥에 의한 편중인사는 없는지를 확인, 감시하는 역할을 맡기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옮기는 방안도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안대희 전 위원장은 대통령이 청와대 비서관이나 보좌관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집무실 이전 방안을 제안, 박 당선인이 이를 수락한 바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