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감사는 행복의 열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hank·think는 뿌리가 같은 단어…감사하면서 사는 삶이 행복한 인생
제갈 정웅 < 대림대 총장·시인 gratitudeall@naver.com >
제갈 정웅 < 대림대 총장·시인 gratitudeall@naver.com >
새해를 며칠 앞두고 우리 곁에서 우리를 행복하게 해줘야 하실 분이 세상을 떠났다. 황수관 박사의 별세 소식을 접하며 함께 생각나는 분이 2년 전에 돌아가신 행복전도사 최윤희 씨다. 두 분은 외환위기 이후 위축돼 있던 우리를 행복하게 해줬기에 서둘러 우리 곁을 떠나는 것을 보며 무엇인가 ‘2%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사람들의 건강은 염려하면서 정작 본인들의 건강을 챙길 틈이 없던 것일까?
최근에 번역된 ‘행복의 특권’은 그동안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 놓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성공을 원했고, 부자가 되려 했고, 또 명예도 얻고 싶어했다. 그러나 저자인 숀 아처 박사는 행복이 목표가 아니라 수단이며 통로라고 속삭인다. 먼저 행복해야 성공도 하고, 부자도 되고, 명예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의 강의는 지난 10년간 하버드대 최고 인기 강좌였다. 숀 아처 박사 논리의 뿌리는 2000년 시작된 긍정심리학이다. 무려 27만5000여명에 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200여개의 연구 성과를 종합, 분석해 나온 결과라 하니 감히 반론을 펴기가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앞에서 우리는 황수관 박사와 최윤희 씨의 사례를 이야기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잘 들어맞는 이야기인데 우리나라에서만 예외가 생긴 것일까? 행복하면 가정이나 직장 등 우리의 현실적인 삶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행복하면’이라고 조건이 붙어 있는데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가 문제이다.
그 해답은 감사에서 찾을 수 있다. 같은 긍정심리학에 뿌리를 둔 행복과 감사 가운데 과연 어느 것이 먼저일까? 행복하면 감사한 마음이 생기는 것일까? 아니면 감사하면 행복해질까?
감사(thank)는 생각(think)과 같은 어원에서 파생됐다. 감사는 먼저 생각을 하고 그 다음에 느끼고 결국 행동을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뇌 과학자들은 요즈음 뇌사진을 찍어보니 행복을 느끼는 뇌세포 바로 옆에 감사를 느끼는 뇌세포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감사 뇌세포가 활성화되면 행복을 느끼게 되고, 그리고 감사하면 뇌에 피가 많이 가서 뇌가 좋아지고 엔돌핀 호르몬을 분비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감사다.
제갈 정웅 < 대림대 총장·시인 gratitudeall@naver.com >
최근에 번역된 ‘행복의 특권’은 그동안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 놓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성공을 원했고, 부자가 되려 했고, 또 명예도 얻고 싶어했다. 그러나 저자인 숀 아처 박사는 행복이 목표가 아니라 수단이며 통로라고 속삭인다. 먼저 행복해야 성공도 하고, 부자도 되고, 명예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의 강의는 지난 10년간 하버드대 최고 인기 강좌였다. 숀 아처 박사 논리의 뿌리는 2000년 시작된 긍정심리학이다. 무려 27만5000여명에 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200여개의 연구 성과를 종합, 분석해 나온 결과라 하니 감히 반론을 펴기가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앞에서 우리는 황수관 박사와 최윤희 씨의 사례를 이야기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잘 들어맞는 이야기인데 우리나라에서만 예외가 생긴 것일까? 행복하면 가정이나 직장 등 우리의 현실적인 삶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행복하면’이라고 조건이 붙어 있는데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가 문제이다.
그 해답은 감사에서 찾을 수 있다. 같은 긍정심리학에 뿌리를 둔 행복과 감사 가운데 과연 어느 것이 먼저일까? 행복하면 감사한 마음이 생기는 것일까? 아니면 감사하면 행복해질까?
감사(thank)는 생각(think)과 같은 어원에서 파생됐다. 감사는 먼저 생각을 하고 그 다음에 느끼고 결국 행동을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뇌 과학자들은 요즈음 뇌사진을 찍어보니 행복을 느끼는 뇌세포 바로 옆에 감사를 느끼는 뇌세포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감사 뇌세포가 활성화되면 행복을 느끼게 되고, 그리고 감사하면 뇌에 피가 많이 가서 뇌가 좋아지고 엔돌핀 호르몬을 분비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감사다.
제갈 정웅 < 대림대 총장·시인 gratitudeall@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