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조직개편] 첫 총리 누구…경제통 → 정무형 선회할 듯
정부조직개편안이 마무리됨에 따라 세간의 관심은 차기 정부의 첫 총리에 쏠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르면 이번주 중 총리후보자를 내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박 당선인은 경제 살리기를 최우선 국정 과제로 삼고 있는 만큼 경제통 총리가 유력하게 거론됐지만 경제부총리 신설로 방향이 국민통합을 이뤄낼 수 있는 정무형 총리로 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당선인과 가까운 인수위 관계자는 16일 ‘경제부총리가 부활했으니 총리는 꼭 경제 전문가가 아니어도 되지 않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상식적으로는 총리도 경제, 부총리도 경제통이면 좀 그렇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박 당선인이 경제를 중요시해서 그 라인업으로 가는 건 불가능한 것도 아니겠지만서도”라고 여운을 남겼다.

박 당선인은 당초 국민대통합 차원에서 호남 총리에 무게를 싣는 듯했지만 최근들어 출신지역은 따지지 않겠다는 쪽으로 기류가 바뀌었다. 지역보다는 능력을 보겠다는 것이다. 최근 충청 총리 얘기가 흘러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박 당선인은 대선 때 책임총리제를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권한은 없고 책임만 진다며 붙여진 ‘의전총리’ ‘대독총리’보다는 헌법정신에 걸맞은 위상을 갖추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박 당선인이 ‘깜짝 인사’를 총리로 낙점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무적 능력과 함께 연륜과 전문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다. 대선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내고 현재 인수위원장을 맡은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이나 선거에서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을 맡은 안대희 전 대검중수부장, 비대위 시절부터 대선까지 함께 해 온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 등을 중용한 것이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을 보여주는 예다.

이를 토대로 총리 후보자를 유추해보면 출신지에 관계없이 경험 많은 법조계나 경제 원로 그룹으로 좁혀진다. 인수위 안팎에선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조무제 전 대법관을 비롯해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김능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안 전 중수부장, 목영준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이 거론된다.

경남 진주 출신으로 동아대를 나온 조 전 대법관은 1993년 공직자 첫 재산공개 때 6400만원을 신고했고, 대법관 퇴임 후엔 로펌행을 마다하고 모교 교수로 돌아가는 등 청빈판사로 유명하다. 이 헌재소장도 헌법재판의 산증인으로 평가받고 있어 박 당선인의 헌법준수 의지와 코드가 맞고 호남(전북 전주) 출신이라는 점이 또 다른 강점이다. 다만 이달 21일 소장에서 물러나자마자 총리직을 맡는 게 적절할지 논란은 있을 수 있다. 인수위원장으로 거론됐던 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도 물망에 오른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