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권의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인 둔촌주공이 1만1000여가구의 대단지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16일 이 단지의 재건축 계획안을 승인했다. 작년 4월부터 서울시와 용적률 상향 조정 문제로 빚어온 갈등이 풀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축 주택 물량이 늘고, 사업 수익성도 개선되면서 재건축 사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조합은 이르면 내년 봄부터 이주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용적률 높아져 재건축 급물살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한 새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이 단지는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2, 3종이 혼합된 일반주거지역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평균 용적률이 259%에서 273.9%로 높아지게 됐다. 신축가구 수도 당초 예상했던 9090가구에서 1만1066가구로 늘어나게 됐다. 조합은 작년 4월부터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요구해왔지만, 서울시는 시가지 쪽인 단지의 서편(전체 면적의 3분의 2)만 3종 변경을 허용했다. 최고 층수는 35층으로 제한했다.

양용택 서울시 공동주택 과장은 “도로폭 50m의 둔촌로, 70m의 강동대로와 붙어 있고 지하철 5·9호선이 단지와 직접 연결돼 있어 3종 일반주거지역의 여건을 갖췄지만 동쪽의 그린벨트를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며 “주거여건이 양호한 지역은 주택 공급을 늘려주면서 임대주택도 적극 확보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주택 수를 늘려주는 대신 전체 주택의 30%(3326가구)를 전용면적 60㎡ 미만 소형으로 짓도록 했다. 소형 주택 크기도 다양화하도록 했다.

또 장기전세주택도 당초 459가구에서 1006가구로 늘렸다. 이와 함께 사업부지의 15%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내놓도록 했다. 이렇게 얻어진 땅은 공원·여성문화회관 등 공공기반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을 짓는 데 쓸 방침이다.

◆강동권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

1980년에 지어진 둔촌주공은 5층짜리 2개 단지, 10층짜리 2개 단지 등 4개 단지, 5930가구로 구성됐다. 2003년 10월 재건축추진위원회가 설립됐다. 그러나 상가조합원과의 분쟁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됐다.

조합은 9개월 만에 용적률 조정 문제가 마무리됨에 따라 재건축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설계를 마치는 대로 시에 건축심의·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조합 관계자는 “이르면 내년 봄쯤 이주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도 둔촌주공이 강동구의 랜드마크 주거단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방침이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건축계획을 수립할 때는 공공건축가를 투입해 설계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업성 때문에 고민했던 시공사(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는 고무된 분위기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사업성이 좋아져 조합원과의 추가 분담금 갈등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재건축 계획 승인과 함께 아파트값 하락세도 멈췄다. 이달 들어 1단지의 전용면적 51㎡형이 6억3000만원 수준에서 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둔촌동 금탑공인의 강성규 대표는 “용적률 상향 기대감으로 올 들어 급매물이 줄어들고 가격 하락세가 멈췄다”고 전했다.

조성근/이현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