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정부가 야당 및 언론으로부터 물가상승률을 임의로 축소 집계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부 산하 국립통계센서스연구소(Indec)가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10.8%라고 최근 밝힌데 대해 신뢰하기 힘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서다.

16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컨설팅회사들은 지난해 물가상승률을 25.6%로 추산했다. Indec 발표와 비교해 14.8%포인트 차이 나는 셈이다.

이같은 주장이 사실이라면 아르헨티나는 남수단(74%), 벨라루스(65%), 수단(45) 등에 이어 네번째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 국가가 되는 셈이다. 2007년 이후 누적 물가상승률 역시 컨설팅 회사들은 153%, 지방정부 산하 연구기관들은 200% 이상 이라고 집계하고 있는 반면 Indec는 56%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야당과 소비자단체 등이 정부를 음해하기 위해 날조한 데이터라고 주장했다.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연 25%의 물가 상승률은 국정 운영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높은 물가상승률은 아르헨티나 국정 불안의 주요 요인이다.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남편인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 재임시절부터 정부가 개입해 물가상승률을 조작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