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低) 초비상…울고 웃는 업종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엔화 가치가 연일 하락해 엔·달러 환율이 2년7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주식 투자시 엔화 약세와 원화 강세의 영향을 고려해 당분간 피해주보다는 중립이거나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에 관심을 가질 것을 주문하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주로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수혜주로는 철강 등이 꼽히고 있다.
18일 엔·달러 환율은 장중 90.10엔까지 뛰어 2년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지난 17일까지 3.06% 상승, 빠른 속도로 엔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일본과 경합 관계에 있는 자동차, 정보기술(IT) 하드웨어의 경우 원·엔 환율 약세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자동차의 경우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동시에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경쟁력 향상이란 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 다만 현대차와 기아차 등 완성차 업체들의 경우 재고부족 상태이기 때문에 판매량에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관측이다. 자동차 부품은 원화 강세로 해외공장에서의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이 밖의 IT 하드웨어의 경우 반도체는 원화 강세에 따른 매출과 이익 축소가 우려되고 있다. 한국 반도체 업체 매출의 90%가 수출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재료, 장비 등 원가 부문에서 달러와 엔화 결제가 약 60~70% 수준에 달해 원화 강세가 원가 하락을 이끌어 일부 실적 감소를 상쇄할 것이란 분석이다.
만일 원·엔 환율이 올해 상반기 평균 1100원 수준까지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이 1030원까지 밀릴 경우 삼성전자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현재 전망치 15조4390억원에서 14조5410억원으로 5.81% 감소할 전망이다.
다만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반도체 가격이 달러로 일원화돼 있고 현재 가격이 해외 경쟁사들의 현금 원가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원화 강세에 따라 경쟁사들이 반도체 가격을 조정해 경쟁력을 제고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휴대폰·가전 역시 다소 부정적이란 평가다. 원화 강세가 국내 휴대폰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전지업체의 경우 관련 일본 업체들의 기술력이 미흡해 엔화 약세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다만 결재 통화가 달러이기 때문에 원화 강세는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업체들은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 경쟁사인 일본 샤프, JDI 등의 원가 경쟁력 상승에 힘을 실어주게 돼 부정적이란 평가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원·엔 환율의 기조적인 하락세가 이어지는 구간에서 자동차, IT하드웨어 업종의 경우 관련 부담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원·엔 환율의 추이와 대일 가격 경쟁력을 보면 거의 큰 시차 없이 두 국가의 수출 물가에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에도 원화의 강세는 일본 제품과 비교한 한국 제품의 수출 물가를 더 많이 끌어올려 가격 경쟁력에 부정적안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철금속 업종은 수출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원화 강세에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반면 긍정적인 업종은 철강이 꼽혔다. 철강은 대부분 대규모 수입 원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 노출 규모가 큰 특징이 있는데 엔화부채 감소 효과 등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방민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철강사들이 엔화 약세를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삼기보다는 역내 교역시장 가격 상승세에 동조해 저조한 수익성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다만 역내 교역가격이 재차 약세로 돌아설 경우 일본 철강사들의 수익성 제고가 여의치 않게 되고 결국 환율 약세를 이용한 저가 공세를 펼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화학, 정유, 유통의 경우 업종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학(LG화학·호남석유·한화케미칼·금호석유·OCI·코오롱인더·SKC)업종은 수출 경쟁력 강화로 매출이 늘어날 수 있지만 환율보다는 제품 스프레드 개선이 중요하다는 평가다. 정유사(SK이노베이션·GS칼텍스·S-Oil)의 경우 대부분 환율 변동을 헤지를 하고 있어 실적에 큰 변동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
롯데쇼핑 등 유통업체에 있어선 엔화 약세가 수입물가지수를 낮춰 국내 물가와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지만,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감소란 부정적인 요인이 함께 발생하게 돼 영향력이 중립적으로 추정된다.^
다만 추가적인 엔화 약세 진행 폭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한편 최근 엔화 약세 여파를 감안하면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 역시 흘러나오고 있다. 2월 금통위는 다음달 9일 열릴 예정이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원화 강세를 저지하기 위한 금리 인하가 단행되지는 않았지만,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는 1분기 중에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
증시 전문가들은 주식 투자시 엔화 약세와 원화 강세의 영향을 고려해 당분간 피해주보다는 중립이거나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에 관심을 가질 것을 주문하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주로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수혜주로는 철강 등이 꼽히고 있다.
18일 엔·달러 환율은 장중 90.10엔까지 뛰어 2년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지난 17일까지 3.06% 상승, 빠른 속도로 엔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일본과 경합 관계에 있는 자동차, 정보기술(IT) 하드웨어의 경우 원·엔 환율 약세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자동차의 경우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동시에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경쟁력 향상이란 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 다만 현대차와 기아차 등 완성차 업체들의 경우 재고부족 상태이기 때문에 판매량에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관측이다. 자동차 부품은 원화 강세로 해외공장에서의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이 밖의 IT 하드웨어의 경우 반도체는 원화 강세에 따른 매출과 이익 축소가 우려되고 있다. 한국 반도체 업체 매출의 90%가 수출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재료, 장비 등 원가 부문에서 달러와 엔화 결제가 약 60~70% 수준에 달해 원화 강세가 원가 하락을 이끌어 일부 실적 감소를 상쇄할 것이란 분석이다.
만일 원·엔 환율이 올해 상반기 평균 1100원 수준까지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이 1030원까지 밀릴 경우 삼성전자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현재 전망치 15조4390억원에서 14조5410억원으로 5.81% 감소할 전망이다.
다만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반도체 가격이 달러로 일원화돼 있고 현재 가격이 해외 경쟁사들의 현금 원가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원화 강세에 따라 경쟁사들이 반도체 가격을 조정해 경쟁력을 제고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휴대폰·가전 역시 다소 부정적이란 평가다. 원화 강세가 국내 휴대폰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전지업체의 경우 관련 일본 업체들의 기술력이 미흡해 엔화 약세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다만 결재 통화가 달러이기 때문에 원화 강세는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업체들은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 경쟁사인 일본 샤프, JDI 등의 원가 경쟁력 상승에 힘을 실어주게 돼 부정적이란 평가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원·엔 환율의 기조적인 하락세가 이어지는 구간에서 자동차, IT하드웨어 업종의 경우 관련 부담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원·엔 환율의 추이와 대일 가격 경쟁력을 보면 거의 큰 시차 없이 두 국가의 수출 물가에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에도 원화의 강세는 일본 제품과 비교한 한국 제품의 수출 물가를 더 많이 끌어올려 가격 경쟁력에 부정적안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철금속 업종은 수출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원화 강세에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반면 긍정적인 업종은 철강이 꼽혔다. 철강은 대부분 대규모 수입 원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 노출 규모가 큰 특징이 있는데 엔화부채 감소 효과 등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방민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철강사들이 엔화 약세를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삼기보다는 역내 교역시장 가격 상승세에 동조해 저조한 수익성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다만 역내 교역가격이 재차 약세로 돌아설 경우 일본 철강사들의 수익성 제고가 여의치 않게 되고 결국 환율 약세를 이용한 저가 공세를 펼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화학, 정유, 유통의 경우 업종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학(LG화학·호남석유·한화케미칼·금호석유·OCI·코오롱인더·SKC)업종은 수출 경쟁력 강화로 매출이 늘어날 수 있지만 환율보다는 제품 스프레드 개선이 중요하다는 평가다. 정유사(SK이노베이션·GS칼텍스·S-Oil)의 경우 대부분 환율 변동을 헤지를 하고 있어 실적에 큰 변동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
롯데쇼핑 등 유통업체에 있어선 엔화 약세가 수입물가지수를 낮춰 국내 물가와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지만,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감소란 부정적인 요인이 함께 발생하게 돼 영향력이 중립적으로 추정된다.^
다만 추가적인 엔화 약세 진행 폭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한편 최근 엔화 약세 여파를 감안하면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 역시 흘러나오고 있다. 2월 금통위는 다음달 9일 열릴 예정이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원화 강세를 저지하기 위한 금리 인하가 단행되지는 않았지만,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는 1분기 중에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