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16.5배"…한국증시 저평가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경제연구원 보고서
"적자 낸 기업은 제외"
증권업계 "아직 저평가"
"적자 낸 기업은 제외"
증권업계 "아직 저평가"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0일 발간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사라졌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제공한 주요 48개국의 PER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 증시 PER은 16.5배였다. 미국 일본(15.6배) 영국(12.6배) 등 선진국뿐 아니라 브라질(14.4배) 중국(8.2배) 등 신흥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는 작년 12월28일 주가를 2011년 주당순이익으로 나눠서 계산한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PER을 계산할 때 적자를 낸 기업은 제외했기 때문에 한국거래소가 제공하는 수치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가는 경제성장률과 비례한다.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주가 상승폭도 커진다. 보고서는 한국의 명목 경제성장률 대비 PER 비율의 연도별 변화를 따져본 결과 최근 3년간(2010~2012년) 2.4배로 1990년대(1.1배)에 비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성장 속도보다 주가가 더 빠르게 올랐다는 얘기다.
과거 10년간(2003~2012년)으로 시점을 확대하면 한국 주가는 명목 경제성장률에 비해 2.1배 상승했다. 분석 대상 국가 중 9번째로 높은 값이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증시가 주요국 증시에 비해 저평가된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외환보유액 확충 △양호한 재정건전성 △국가신용등급 상승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증권업계에서는 그러나 이런 분석에 의문을 제기했다. 박성훈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미래 실적에 대한 기대를 토대로 형성되는 것”이라며 “12개월 예상 순이익을 기준으로 한 PER은 약 8.5배로 과거 고점(10~11배)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