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경제부총리 누가 될까] '리더십' 이한구 '위기관리' 최경환…'대통합'은 김종인·이용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력 후보 6인 평가해보니
'朴 경제과외교사' 김광두, 당선인과의 호흡 '강점'
임종룡, 현직서 앞서…진념·강봉균 "다시 맡기엔…"
'朴 경제과외교사' 김광두, 당선인과의 호흡 '강점'
임종룡, 현직서 앞서…진념·강봉균 "다시 맡기엔…"
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박근혜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로 누가 선임될지가 관심이다. 하마평이 무성하다. 전직 장관을 지낸 원로급에서부터 당내 관료출신 의원, 현직 관료, 학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후보들이 거론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부총리 자질은 대략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할 예정인 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 중 △관료 사회 장악은 물론 부처 간 갈등을 조율할 리더십이 있고 △국정운영 경험이 풍부하며 △대통합·대탕평 인사원칙에도 맞고 △당선인과의 호흡도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도덕성은 기본이다.
당내 관료 출신 의원그룹에서는 이한구·최경환·김광림·류성걸 의원이 거론된다. 전직 관료그룹에서는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 김영주 전 산자부 장관 등이, 현직 관료 중에선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등이 물망에 오른다. 외부 원로그룹에서는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위원장,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용섭 의원도 관료 출신의 대표적인 야당 정책통인 만큼 대탕평 인사 원칙에 따라 박 당선인이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카드라는 게 당선인 주변은 물론 관가의 관측이다.
한국경제신문은 이들 후보군 가운데 학계 및 연구계, 당내 경제통 의원들, 현직 경제 관료 등의 의견을 종합해 부총리직에 가장 근접한 6명을 선정, 항목별 점수를 매겼다. 전직 관료 중 유력하게 거론됐던 진 전 부총리와 강 전 장관은 본인들이 직접 언론을 통해 “맡을 생각이 없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평가대상에서 제외했다.
○국회와 협상 능력 뛰어나야
경제수장의 첫 번째 자질로는 관료 사회를 장악할 수 있는 리더십이 꼽힌다. 더구나 이번에는 부총리급으로 승격되는 만큼 부처 간 갈등을 원만하게 조정해야 하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실질적 입법 권한을 가진 국회와의 협상능력도 뛰어나야 한다. 이런 점에서 전문가들은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최경환 의원을 1순위로 꼽았다.
이 원내대표는 관료 경험을 가진데다 당에서 정책위의장 등을 지내 경제 현안 전반에 정통하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박 당선인이 국정을 펼 때 국회와의 관계를 무엇보다 중시하겠다고 강조한 만큼 원내대표를 맡으면서 국정 현안을 원만하게 풀어내고 있는 이 원내대표가 적임자란 평가가 많다. 현직 기획재정부 관료들 역시 이 점에서 이 원내대표에게 높은 점수를 줬다. 다만 관료 경험이 짧다는 것은 단점이다. 최 의원은 관료 출신으로 언론과 정치 경험을 갖고 장관까지 지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특히 장관 시절 특유의 친화력으로 따르는 관료들이 많았고, 국정 경험도 풍부해 부처 간 업무 조율 능력에서도 적임자라는 평이다.
○경제위기 극복이 큰 난제
새 정부의 초대 경제사령탑이 직면한 가장 큰 난제는 경제 위기 극복이다. 이런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는 후보는 최 의원이다. 지식경제부 장관(2009년 9월~2011년 1월) 시절 최 의원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관료들은 최 의원에 대해 “추진력과 돌파력이 좋고 ‘맏형’처럼 관료들을 휘어잡는 카리스마가 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가 국민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가장 일 잘하는 장관’으로 뽑히기도 했다. 다만 ‘친박 실세’라는 점이 약점이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현직 관료로는 임종룡 국무총리실장(행시 24회)이 적임자로 꼽힌다. 정통 재무 관료로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 1차관 등을 거치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에 기여했다는 게 강점이다. 관료사회에서 위아래로부터 신망이 두텁다. 하지만 부총리 역할을 수행하기에 경륜이 부족하다는 게 단점이다. 임 실장 외에도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 신제윤 재정부 1차관 등이 현직 관료 중 후보로 거론된다.
○국민 대통합도 고려해야
박 당선인이 국무총리뿐 아니라 경제부총리 인선에도 ‘대통합’을 고려하면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주목받는다. ‘경제 민주화의 전도사’로 불린다는 점에서다. 중소기업과 서민, 진보 성향 국민들을 끌어안을 수 있는 카드다. 서울 출생이지만 조부인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이 전북 순창 출신이라 호남 인맥으로 분류되는 점도 장점이다. 다만 대선 직전 경제민주화의 방향을 둘러싸고 박 당선인과 틈이 벌어진 점은 부담이다. 자기 목소리가 강하다는 점에서 당선인과 호흡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인수위 관계자들은 물론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이용섭 의원(행시 14회)의 ‘깜짝 발탁’ 가능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 전남 함평 출신으로 당선인의 대탕평·화합형 인사 원칙에 가장 잘 맞아떨어진다. 실제 인수위 출범 전 전직 인수위원장을 지낸 인사 가운데 상당수가 차기 정부의 성공요인 중 하나로 ‘야당 인사의 과감한 내각 기용’을 꼽기도 했다. 당선인과는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같이 활동했다. 재정위 소속 한 의원은 “당시 재정위에서 활동할 때도 박 당선인이 이 의원의 풍부한 식견에 관심을 보인 적이 있으며 질의내용을 유심히 듣곤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직 야당 의원으로 정책 방향이 다른 만큼 박 당선인과 호흡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 데다 당선인의 ‘러브콜’을 받더라도 본인이 수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당선인과 호흡은 김광두
김광두 원장은 2007년 당시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부터 당선인의 옆에서 줄곧 ‘경제 과외교사’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초기 부총리를 맡을 경우 당선인의 경제철학을 가장 잘 구현할 적임자로 분류된다.
정종태/주용석/김재후 기자 jtchung@hankyung.com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부총리 자질은 대략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할 예정인 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 중 △관료 사회 장악은 물론 부처 간 갈등을 조율할 리더십이 있고 △국정운영 경험이 풍부하며 △대통합·대탕평 인사원칙에도 맞고 △당선인과의 호흡도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도덕성은 기본이다.
당내 관료 출신 의원그룹에서는 이한구·최경환·김광림·류성걸 의원이 거론된다. 전직 관료그룹에서는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 김영주 전 산자부 장관 등이, 현직 관료 중에선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등이 물망에 오른다. 외부 원로그룹에서는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위원장,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용섭 의원도 관료 출신의 대표적인 야당 정책통인 만큼 대탕평 인사 원칙에 따라 박 당선인이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카드라는 게 당선인 주변은 물론 관가의 관측이다.
한국경제신문은 이들 후보군 가운데 학계 및 연구계, 당내 경제통 의원들, 현직 경제 관료 등의 의견을 종합해 부총리직에 가장 근접한 6명을 선정, 항목별 점수를 매겼다. 전직 관료 중 유력하게 거론됐던 진 전 부총리와 강 전 장관은 본인들이 직접 언론을 통해 “맡을 생각이 없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평가대상에서 제외했다.
○국회와 협상 능력 뛰어나야
경제수장의 첫 번째 자질로는 관료 사회를 장악할 수 있는 리더십이 꼽힌다. 더구나 이번에는 부총리급으로 승격되는 만큼 부처 간 갈등을 원만하게 조정해야 하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실질적 입법 권한을 가진 국회와의 협상능력도 뛰어나야 한다. 이런 점에서 전문가들은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최경환 의원을 1순위로 꼽았다.
이 원내대표는 관료 경험을 가진데다 당에서 정책위의장 등을 지내 경제 현안 전반에 정통하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박 당선인이 국정을 펼 때 국회와의 관계를 무엇보다 중시하겠다고 강조한 만큼 원내대표를 맡으면서 국정 현안을 원만하게 풀어내고 있는 이 원내대표가 적임자란 평가가 많다. 현직 기획재정부 관료들 역시 이 점에서 이 원내대표에게 높은 점수를 줬다. 다만 관료 경험이 짧다는 것은 단점이다. 최 의원은 관료 출신으로 언론과 정치 경험을 갖고 장관까지 지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특히 장관 시절 특유의 친화력으로 따르는 관료들이 많았고, 국정 경험도 풍부해 부처 간 업무 조율 능력에서도 적임자라는 평이다.
○경제위기 극복이 큰 난제
새 정부의 초대 경제사령탑이 직면한 가장 큰 난제는 경제 위기 극복이다. 이런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는 후보는 최 의원이다. 지식경제부 장관(2009년 9월~2011년 1월) 시절 최 의원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관료들은 최 의원에 대해 “추진력과 돌파력이 좋고 ‘맏형’처럼 관료들을 휘어잡는 카리스마가 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가 국민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가장 일 잘하는 장관’으로 뽑히기도 했다. 다만 ‘친박 실세’라는 점이 약점이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현직 관료로는 임종룡 국무총리실장(행시 24회)이 적임자로 꼽힌다. 정통 재무 관료로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 1차관 등을 거치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에 기여했다는 게 강점이다. 관료사회에서 위아래로부터 신망이 두텁다. 하지만 부총리 역할을 수행하기에 경륜이 부족하다는 게 단점이다. 임 실장 외에도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 신제윤 재정부 1차관 등이 현직 관료 중 후보로 거론된다.
○국민 대통합도 고려해야
박 당선인이 국무총리뿐 아니라 경제부총리 인선에도 ‘대통합’을 고려하면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주목받는다. ‘경제 민주화의 전도사’로 불린다는 점에서다. 중소기업과 서민, 진보 성향 국민들을 끌어안을 수 있는 카드다. 서울 출생이지만 조부인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이 전북 순창 출신이라 호남 인맥으로 분류되는 점도 장점이다. 다만 대선 직전 경제민주화의 방향을 둘러싸고 박 당선인과 틈이 벌어진 점은 부담이다. 자기 목소리가 강하다는 점에서 당선인과 호흡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인수위 관계자들은 물론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이용섭 의원(행시 14회)의 ‘깜짝 발탁’ 가능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 전남 함평 출신으로 당선인의 대탕평·화합형 인사 원칙에 가장 잘 맞아떨어진다. 실제 인수위 출범 전 전직 인수위원장을 지낸 인사 가운데 상당수가 차기 정부의 성공요인 중 하나로 ‘야당 인사의 과감한 내각 기용’을 꼽기도 했다. 당선인과는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같이 활동했다. 재정위 소속 한 의원은 “당시 재정위에서 활동할 때도 박 당선인이 이 의원의 풍부한 식견에 관심을 보인 적이 있으며 질의내용을 유심히 듣곤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직 야당 의원으로 정책 방향이 다른 만큼 박 당선인과 호흡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 데다 당선인의 ‘러브콜’을 받더라도 본인이 수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당선인과 호흡은 김광두
김광두 원장은 2007년 당시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부터 당선인의 옆에서 줄곧 ‘경제 과외교사’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초기 부총리를 맡을 경우 당선인의 경제철학을 가장 잘 구현할 적임자로 분류된다.
정종태/주용석/김재후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