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세계 곳곳에서 경기회복을 알리는 신호가 잇따르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13년 1월1일 이후 현재까지 3주간 발표된 주요국 경제지표 중 글로벌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60개 지표를 살펴본 결과, 이중 27개(45.0%)가 시장 예상치보다 양호했다.

시장 예상을 밑돈 경제지표는 29개(48.3%)였고, 정확히 부합한 지표는 4개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상당수 국가에서 경기가 바닥을 쳤다는 신호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국의 경기회복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해 2011년 1분기 이후 2년만에 반등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미국 경제지표도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지난주(17일기준)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3만5000건으로 5년만에 최저수준을 보였다. 지난달 주택착공건수도 95만4000채(연환산 기준)로 4년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국의 경기회복 움직임을 중심으로 신흥국 시장에서도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브라질의 경우 12월 무역수지와 11월 경제활동지수, 산업생산 등 올들어 발표한 6개 경제지표가 모두 시장예상치를 웃돌았다.

태국 중앙은행은 글로벌 경기회복을 이유로 지난 18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6%에서 4.9%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낙관할 시점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유럽 각국이 아직도 재정위기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경닷컴 증권금융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