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관련 업무의 미래창조과학부 이관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이는 가운데 KAIST 동문들이 "과학기술 특화대학만을 선별해 미래부 산하에 이관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KAIST 총동문회는 21일 박근혜 정부의 조직 개편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새 정부의 미래부 신설을 적극 환영하며 모든 대학 지원 기능을 미래부로 이관하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선 우려를 표한다" 며 이 같이 말했다.

KAIST 동문들은 성명에서 "미래부는 신설 취지에 걸맞게 KAIST 등 연구중심 과학기술 특화대학을 선별해 이관해야 한다" 며 "해당 대학들을 적극 지원해 집중 육성, 차별화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힘써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기술 특화대학의 설립 취지와 사명을 무시한 채 모든 대학에 일괄적 정책을 적용한다면 대학 수준의 하향평준화만 초래할 것" 이라며 "나아가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것" 이라고 지적했다.

새 정부에선 미래부 신설에 따라 기존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부로 개편된다. 효율적 산학협력과 대학의 연구·개발(R&D) 활성화를 위해 교육부 소관이던 대학 관련 기능을 미래부로 이관하고, 교육부는 초·중·고 관련 업무를 맡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