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내 처리단가 협상 마무리"…'미봉책' 지적 여전

자치구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 간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갈등으로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자 서울시가 2018년까지 음식물쓰레기의 95%를 공공처리 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시는 현재 5곳인 음식폐기물 처리시설을 2018년까지 3곳 확충해 시의 처리부담 수준을 현재 37%(1천240t)에서 2013년 45%(1천360t), 2014년 69%(1천610t), 2018년 95%(1천910t)까지 늘리겠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강동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을 현재 1일 240t에서 오는 2월까지 360t으로 늘리고, 500억원을 투입해 서남물재생센터와 연계한 강서처리시설(250t)을 조성하기로 했다.

중랑처리시설(200t/일)과 은평처리시설(100t/일)은 민자유치를 통해 2018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해양배출 금지에 따라 늘어난 음폐수는 중랑ㆍ서남물재생센터에 400t 우선 반입하고 영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관악구(600t)와 노원구(200t)에 쌓인 쓰레기는 이번 주 내로 수거하기로 했다.

또 이달 말까지 자원순환사회연대, ㈔한국음식물폐기물자원화협회, 서울시, 각 자치구, 전문가 등 11명으로 구성된 '표준단가산정위원회'에서 음식폐기물 처리단가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 이런 계획이 최근 비난 여론에 따른 미봉책이라는 비판도 여전히 적지 않다.

공공처리능력을 2018년까지 95%로 늘리겠다는 계획은 종량제 시행에 따라 음식쓰레기가 지금보다 40% 줄어든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종량제가 일부 자치구에서 이달부터 전면시행을 시작했을 뿐 확산하지 못하는 추세인데다 단독주택ㆍ아파트 등 처리기준이 달라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서처리시설은 5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지만 추가 예산 마련방안이 구체적으로 없는 상태며, 중랑ㆍ은평처리시설은 과거부터 나왔던 계획이지만 주민 반대가 극심해 착공이 늦어지고 있다.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음식쓰레기가 종량제 시행을 통해 20%, 대ㆍ소형감량기 도입을 통해 20% 줄어드는 등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차질 없이 음식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이슬기 기자 li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