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상범 교수 등 국제연구팀,‘네이처’ 최신호에 게재

파킨슨병, 헌팅튼병, 무도병 등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상범 이화여대 교수와 로빙거 미국 국립보건원알코올연구소 박사,코스타 박사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광유전학을 이용해 신경회로의 특정신경전달 경로를 기록할 방 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기존에는 뇌에 전극을 삽입하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뇌신경세포의 신호를 측정했지만 수천억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복잡한 뇌신경회로의 신호를 구분하는 데는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조작해 신경 신호가 발생할 때 형광신호가 증가하도록 하고 광섬유를 실험동물의 뇌에 삽입해 광학신호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연구팀은 행동유발 신경전달이 흥분성 신경전달 경로인 ‘직접경로’와 억제성 신경전달 경로인 ‘간접경로’ 양쪽을 통해 동시에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는 자발적인 운동을 할 때 직접경로와 간접경로가 따로 활성화한다는 기존의 지배적인 학설을 뒤집는 연구결과다.

전 교수는 “이번 연구로 기존의 방법으로는 관찰이 어렵던 뇌 안의 수많은 신경전달 경로를 명확히 밝힐 연구방법을 개발했다”며 “뇌의 신경전달 경로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파킨슨병,무도병,운동이상증 등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최신호에 온라인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