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4일 국방위원회 성명을 내고 “우리가 계속 발사하게 될 여러 가지 위성과 장거리 로켓도, 우리가 진행할 높은 수준의 핵시험도 미국을 겨냥하게 된다”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은 북한의 이 같은 위협을 ‘도발’로 규정하고 강한 어조로 비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위원회가 “미국과 그에 추종하는 불순세력의 대조선 적대시 책동을 짓부수고 나라와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전면 대결전에 진입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제재결의를 한 데 대해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고 나선 것이다.

북한은 전날에는 외무성 성명을 통해 “미국의 제재압박 책동에 대처해 핵 억제력을 포함한 자위적인 군사력을 확대 강화하는 물리적 대응조치들을 취하게 될 것”이라며 제3차 핵실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북한이 지난달 발사한 장거리 로켓은 사거리가 1만3000㎞에 달할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대륙간탄도미사일로 전용하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북한의 추가 핵실험은 고농축 우라늄(HEU)을 이용해 핵 폭발력을 키우고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핵탄두를 소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분석돼 이날 국방위 성명은 미국에 대한 강도 높은 위협으로 풀이된다.

조선중앙통신의 이날 보도에 대해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의 성명은 ‘불필요한 도발’”이라며 “핵실험은 유엔 제재 규정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 될 것이며, 북한의 고립을 심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에 당선인 특사 자격으로 참석 중인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을 통해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추가 도발이 있을 경우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지난 23일 김무성 전 새누리당 의원을 단장으로 한 박 당선인 특사단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북핵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시 총서기의 이런 언급은 “6자회담이 사멸됐다”는 북한 외무성 성명이 발표된 직후 나온 것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